소개글
농업과 식품산업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국내 농업과 더불어 식품산업의 질적 성장을 도모키 위해선 농장에서 생산된 식재료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농업계와 식품업계 간의 상생협력을 이어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우리 농업은 WTO(세계무역기구)체제 출범으로 인한 농산물 수입의 영향으로 20년이 넘는기간 동안 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이어 농산물 수입증가에 따른 농산물 가격 불안, 농가소득정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같은 농업의 정체는 식품산업의 성장과 함께 연계할 수 있는 상생협력의 방법을 찾아야 풀어나갈 수 있다.
식품산업은 최근 10년간 평균 6.8%이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매출규모는 약 80조원의 수준에 달한다. 그러나 전세계 식품시장이 6조1000억 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더욱 부단한 노력을 통해 외연을 확대해야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상생협력의 다양한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견인할 수 있는 R&D(연구개발)에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식품산업은 농산물의 수요기반이며 농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매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농업과 농산물의 가치를 높여준다. 농업과 식품산업은 농식품의 생산부터 유통, 소비과정을 총괄하는 식품시스템(food system)의 중요한 구성주체이며 상생의 거래관계를 지니고 있다.
식품산업은 가공 ․ 외식 ․ 식재료 ․ 유통 등의 활동을 통해서 원료농산물을 구매함으로써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농업과 농산물의 가치를 국내외로 전파함으로써 농업 발전에 기여한다. 따라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거래 관계 형성을 통해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농업과 식품산업의 상호 발전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가공 및 외식산업 분야에 안전하고 품질 좋은 국내 농산물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연계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면 국내 농산물의 수요 창출과 가격안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제2장 식품산업의 구조 및 현황
1. 식품산업의 구조
1.1 식품산업의 정의 및 구성
1.2 식품산업의 구조
2. 식품산업의 현황
2.1 세계 식품시장 현황
2.2 국내 식품산업 현황
3. 국내 식품산업의 성장 잠재력 및 문제점
3.1 국내 식품산업의 성장 잠재력
3.2 국내 식품산업의 문제점
제3장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1.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관성
1.1 농업 문제해결을 위한 식품산업
1.2 식품산업과 국내농업의 연관성
1.3 외식산업과 국내농업의 연관성
1.4 외식산업 성장으로 인한 식재료산업 성장
2.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구조
3. 농업과 식품산업 연계의 경제적 효과
3.1 식품산업의 경제적 효과
3.2 식품산업의 파급효과
제4장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현황
1. 농업기반 비즈니스의 유형화와 사례 분석
1.1 농업기반 비즈니스의 유형화
1.2 농업 비즈니스 유형의 사례 분석
2. 농업기반 비즈니스의 특성 및 활성화 방안
3. 농업기반 비즈니스에서의 일자리 창출 방안
3.1 농업기반 비즈니스의 일자리 창출 현황
3.2 일자리 창출방안
제5장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 방안
1. 기본방향37
1.1. 산지와 식품산업간의 지속적인 거래를 위한 연계시스템 구축
1.2. 수요에 대응한 산지의 품질관리와 공급물량 확보
1.3. 차별화를 통한 국내 농식품 소비 확대
1.4. 관련 인프라 지원
2. 연계강화 방안
2.1. 계약거래와 계열화 정착
2.2. 산지와 업체의 연결네트워크 구축
2.3. 가공원료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제고
2.4. 가공원료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 강구
2.5. 식품안전 및 위생시설지원 확대
2.6. 연계정보체계 구축과 교육 지원
2.7. 광역식품산업 클러스터사업과 연계한 기술개발 지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농업은 연관 산업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발전해 나가야 한다. 식품산업은 농업의 전방연관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농수산업 정책이 효과를 얻으려면 식품산업정책과 함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국내 농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그동안 정부가 노력을 기울여 온 공급측면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등 수요를 증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농업의 위기를 푸드시스템 측면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해결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쌀의 공급과잉 문제를 공급조정보다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 “쌀가공식품산업 활성화” 정책을 실시하여 2009년 1분기 이후 쌀 소비 증가세로 전환하여 2010년 양곡년도 말 기준 정부가 공급한 가공용 쌀은 약 18만 톤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다(시장수요 물량 제외). 쌀 가공식품 생산에 참여한 업체 수 또한 2009년 말 689개소에서 2010년 95개사가 신규로 참여하여 734개소로 늘어나 15% 증가하였다.
쌀 가공식품은 이제 가정에서 소비되는 유통매장용 상품에서 벗어나 쌀 가공식품군 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쌀 가공식품 사업 형태 또한 식품제조에서 프랜차이즈와 외식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 농업의 생산물 중 국내 식품제조업으로 투입되는 비중이 수입농산물 보다 적어 국내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산업연관분석표에 의하면 국내 농수산물의 식품가공분야 투입은 농산물 10조 6,869억원, 축산물 10조 4,259억원, 수산물 2조 2,862억원으로 각각 42.1%, 78.3%, 40.1% 투입 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산업연관분석표에 의하면 국내 농수산물의 식품가공분야 투입은 농산물 10조 1,091억원, 축산물 8조 8,964억원, 수산물 1조 8,751억원으로 각각 51.1%,88.7%, 51.5%의 투입비율을 보이고 있다.
참고 자료
김영수·박재곤·정은미(2012), 「산업융합시대의 지역산업생태계 육성 방안」, 산업연구원.김진혁 외(2009), “식품산업: 새로운 가치와 도전”,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No.725.
김태곤 외(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2/3차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2005), “지역농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본 사업 추진 방안 연구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2012), “식품산업 동향 분석 및 전망 20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 “농업의 6차 산업화”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 “농촌지역 일손부족 실태조사 결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0), “식품산업 Global Trend: 국내 식품산업에 주는 시사점”, KHIDI 통계분석리포트 Vol.01.
최지현 외. 2007.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경희정보인쇄(주).
이동필 외. 2001. 식료의 안정적 공급 및 농산물과 식품산업의 연계강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크리홍보(주).
농업농촌동향. 2018. 2. 12. 2018~20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미래정책연구실.
고재윤 외. 2005. “우리나라 외식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제4권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