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이론] 사회체계와 사회제도
- 최초 등록일
- 2020.06.23
- 최종 저작일
- 2020.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체계이론의 중심 개념인 체계란 부분요소들 간의 관계가 상호연관된 상호 의존적인 구성체를 말한다. 여기에 시간의 개념을 추가하여 앤더슨과 카터(Anderson & Carter, 1990)는 "체계란 구별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조직화된 전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체계 개념을 인간의 삶이 이루어지는 사회체계에 적용하게 되면, 체계는 (1) 조직화(organization), (2) 상호인과성(mutual causal), (3) 항구성(constancy), (4) 공간성(spatiality), (5) 경계(boundary)라는 다섯 가지 속성을 가진다(Martin & O'Connor, 1989; 이인정, 최해경, 2007, 재인용).
여기서 조직화란 체계의 부분 혹은 요소가 서로 관계가 있고 연결되어 있음을 뜻한다. 상호인과성은 상호 의존을 말한다. 항구성은 체계가 지속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공간성이란 체계가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며 관찰될 수 있음을 뜻한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