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1)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2) 복합적요인(수술절개부위,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6. 참고문헌 (References)
본문내용
다리는 30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분절로 나눈다.
1) 넙다리부위(femoral region, 넓적다리(thigh)) : 엉덩이에서 무릎까지고, 넙다리뼈로 구성되어 있다. 무릎뼈(슬개골, 무릎덮개)는 넙다리와 종아리부위 연결부에 있는 종자뼈 이다.
2) 종아리부위(crural region, leg proper) : 무릎에서 발목까지고 안쪽은 정강뼈(경골,tibia), 가쪽은 종아리뼈(비골, fibula)로 구성 되어 있다.
3) 발목(tarsal region (tarsus), ankle) : 종아리부위와 발을 연결해준다. 발목뼈는 발의 일부로 간주한다.
4) 발부위(pedal region (pes), foot) : 발목뼈(족근골, tarsal bones) 7개, 발허리뼈(중족골, metatarsals) 5개, 발가락뼈(지골, phalanges) 14개로 구성되어 있다.
◆ 정강뼈(경골, tibia)
1) 정의
종아리를 이루는 뼈 중 하나로, 무릎과 발목 사이에 위치하며, 다리를 사용할 때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넙다리뼈(대퇴골, femur)의 관절융기(condyle)와 관절을 이루고, 아래에서 목말뼈(거골, talus)와 관절을 이룬다.
2) 위치
넙다리뼈(대퇴골, femur)와 목말뼈(거골, talus) 사이에 있으며 종아리를 이루는 두 개의 뼈 중 안쪽에 위치하는 뼈이다.
3) 형태 및 구조
정강뼈는 종아리의 앞 안쪽면에 있으며 몸에서 두 번째로 큰 뼈이다. 위아래로 뼈 끝이 확장되어 있어 관절면을 넓게 하여 체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몸쪽끝은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와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에 의해 넓어져 있으며 넙다리뼈와 관절을 이루어 위관절면(superior articular surface: tibial plateau)을 형성한다.
참고자료
· 김근순 저(2012). 성인간호학 2. 서울: 수문사
· 박은영 외. (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 차영남 외. (2016).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