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각주
1) 단행본에서의 인용
2) 논문에서의 인용
3) 번역서의 인용
4) 공동 저자의 표시
3 참고 문헌
1) 참고 문헌(예시)
본문내용
이 자료에서는 일반적인 논문 작성법을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유의해야 할 인용과 각주(또는 미주) 사용법을 중심으로 요약한다. 인용과 각주 사용 방법은 학문의 분과나 전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그것들이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정확한 전거(典據) 제시’와 ‘일관성 있는 형식 유지’이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예들은 인문과학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시카고 편람(The Chicago Manual of Style)을 기준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사항들을 선별한 것이다.
1 인용
‘인용’(citation)은 필자의 논지를 세우거나 보완할 목적으로 타인의 주장을 일부 빌어오는 것이다. 인용은 크게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이 있는데 어떤 경우든 전거를 명확하게 표시함으로써 필자의 주장과 타인의 주장을 명확하게 구별해야 한다. 지나치게 많은 인용은 필자의 주장을 약화시키며, 부적절한 인용은 필자의 주장을 흐리게 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특히 직접 인용의 경우는 원저자의 주장을 필자가 더 이상 적절하게 재정리하거나 표현할 수 없다고 판단할 때에 한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직접 인용
본문 중에 삽입되는 직접 인용은 쌍따옴표(“ ”)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인용 단락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 예외적인 필요가 아니면 반드시 원문을 그대로 옮겨 써야 한다. 원문이 오자, 탈자, 맞춤법, 문법 등 명백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거나 현재의 필자의 문맥에 맞게 변경 또는 수정할 필요가 있을 때는 필자가 수정 또는 변경한 부분을 [ ]로 묶어 표시한다. 이 때 그에 따른 부가적 설명이 필요할 경우에는 각주를 달아 표시한다.
※ 짧은 직접 인용의 예
그래서 로티(R. Rorty)는 듀이(J. Dewey)가
참고자료
· 인용과 각주에 관한 더 상세한 사항은 임인재, 논문 작성법: 인문・사회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