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암 케이스 case study (문헌고찰, 진단 3개 간호과정3개 포함)
- 최초 등록일
- 2020.06.13
- 최종 저작일
- 2019.04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담도암 케이스 case study (문헌고찰, 진단 3개 간호과정3개 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재
목차
Ⅰ. 자료수집
1. 간호력
2. 문헌 고찰
3. 간호정보 조사기록
4. 성인 대상자 신체 사정
5. 낙상 위험 사정 도구
6. 임상 검사
7. 투여 약물
Ⅱ. 간호과정
1. 간호진단/간호문제 기록지
2. 간호과정 기록지
참고 문헌
본문내용
■ 병인론(Pathphysiology)
① 정의
간에서 만들어진 답즙이 십이지장까지 가는 경로인 담도에서 암세포들이 형성하는 종괴 (腫塊, 덩이)가 담도암이며, 위치에 따라 크게 간내 담도암과 간외 담도암으로 나뉜다. 양자 간에 세포 형태는 차이가 없으나 간내 담도암은 해부학적으로 간암에 속한다.
담도암의 대부분은 담관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腺癌腫)이어서 일반적으로 담도암이라고 하면 담관 선암종을 가리킨다. 선암종(adenocarcinoma, 선암)이란 선(腺)조직, 즉 샘세포에 생기는 암이다. 간외 담도암은 발생 부위에 따라 상부(근위부), 중부, 하부(원위부) 담도암으로 구분된다. 상부 담도암은 주간관(主肝管, common hepatic duct, 총간관)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클라츠킨(Klatskin) 종양을 포함해 전체 담도암의 약 50%를 차지하며, 중부 담도암과 하부 담도암이 각기 20~30%를 차지한다.
참고로 덧붙이면, ‘근위(近位, 형용사는 proximal), 원위(遠位, distal)’란 몸의 어떤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그것에 가까운 쪽인지 먼 쪽인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팔다리에서는 몸통에 더 가까운 쪽이 근위부이고, 혈관의 경우에는 심장에 가까운 쪽, 말초신경에서는 두뇌에 가까운 쪽이, 간외 담도의 경우에는 간에 가까운 쪽이 근위부이다.
② 발생 부위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膽汁, 쓸개즙)이 간에서 분비되어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기까지의 경로를 담도(膽道, 쓸갯길, biliary tract)라고 하며, 간내 담도와 간외 담도로 나뉜다.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담낭은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창고 같은 곳으로 담낭관이라고 하는 좁은 관을 통해 담도와 연결되어 있다. (담즙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췌액과 달리 소화효소가 없지만, 주성분의 하나인 담즙산이 지방질을 유화하여 소화 · 흡수가 잘 되도록 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Medical Surgical Nursing), 고자경 외 2인, 퍼시픽북스, 2017.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간호과정, 2013, 최순희, 현문사
담도암 [cholangiocarcinoma]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