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및실험에서 실험한 막걸리 내 미생물, 효모(Saccharomyces속) 배양 실험보고서 입니다.
- Plate counts, Plate count agar with BCP&Serial dilutions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도구 및 방법
4. 실험 결과 및 데이터 계산
5. 고찰
본문내용
주제
막걸리 내 미생물, 효모(Saccharomyces속) 배양
- Plate counts, Plate count agar with BCP&Serial dilutions
1. 실험 목적
- 시판 막걸리로부터 시료액을 추출하여 이를 여러 번 희석시켜 고체 평판배지에 spreading한 후 plate에 형성된 colony의 수를 측정한다.
- PCA(plate count agar) with BCP에 희석액을 접종하면 배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한다.
-희석비율을 역으로 계산하여 Original Saccharomyces의 수를 유추해낸다.
2. 실험 원리
-탁주, 청주, 포도주, 맥주 등의 제조에 있어서 알코올이 생성될 대는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효모의 작용에 의해서 당분이 알코올로 변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생물학적 작용이 발효이며 효모는 발효의 근본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