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학
2. 유전적 원인
3. 호르몬성 위험인자
4. 식이성 위험인자
5. 유방의 악성종양
6. Paget’s disease
7. 상피내암종-관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8. 상피내암종-소엽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 LCIS)
9. 에스트로겐과 유방암의 발생
10. 홀스테드 이론(Halsted theory)
11. 피셔 이론 (Fisher theory)
12. 수술 치료
13. ANATOMIC STAGE / PROGNOSTIC GROUPS
14. Primary Tumor (T)
15. 비침습 유방암의 진료 흐름도
16. 조기 유방암의 진료 흐름도
본문내용
역학
서구여성에서 가장 발생빈도 높은 악성종양. 폐암에 이어 두번째로 흔한 여성의 암 사망 원인.
40~55세 미국 여성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국, 일본 동아시아는 서구에 비해 발생률 낮다
국내 10년동안 발생률 급격 증가중
한국은 서구 여성에 비해 젊은 나이에서 발생하며 발생민도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한다(인종적 특성)
유전적 원인
획득성 체세포 돌연변이(somatic mutation)이 추가되면서 발생한 특정 클론의 증식이 조절되지 않는 것에서 출발
유방암 위험 증가시키는 대표적 유전자 BRCA1, BRCA2, TP53, PTEN등의 변이
BRCA ½변이가 있는 여성에서는 예방적 난소절제술 시행이 난소암 뿐만 아니라 유방암 발생 역시 50% 가까이 낮추는 것으로 보고됨
안젤리나 졸리 유방절제술 후 난소절제술
호르몬성 위험인자
유방세포는 1차적으로 여성호르몬의 자극과 조절을 통해 분화와 퇴행과정이 진행.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과 유방암의 위험은 관계가 밀접
초경연령 빠를수록, 폐경연령 늦을수록, 첫 만삭분만 연령 늦을 수록 유방암 위험 유의하게 증가
호르몬대체요법(estrogen+progestrogen) 장기간 시행시 유방암 위험 유의하게 증가. 이 위험도는 복합 호르몬 대체요법 제제 중단시 정상화 되었다.
식이성 위험인자
비만도가 높은 유방암 환자는 종양이 크고 호르몬 수용체 음성률이 높은 등 나쁜 예후인자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됨
고지방식과 유방암의 연관성 가설은 연구부족상태
유방의 악성종양
가장 흔한 것은 침윤성 관암종(invasive ductal carcinoma): 전체의 65~80% 차지
두번째로 흔한 것은 침윤성 소엽암종(invasive lobular carcinoma): 서구에서는 10~14%정도, 한국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빈도 낮은 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