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전공필수 과목인
화학생명공학실험 보고서입니다
PRE-Report 는 실험전 사전지식을 정리하는 보고서이고
Final-Report는 실험후 결과를 정리하는 보고서 입니다.
두가지를 모두 참고하셔서 과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이론 및 배경지식
4. 시약 및 기기
5. 실험 순서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2. 실험 목적
SDS-PAGE 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Western Blot의 원리를 이해한다. Western blotting을 통해서 정제된 ds-Red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한다.
3. 이론 및 배경지식
1) SDS-PAGE
SDS 와 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한 전기 영동법이다. SDS 란 모든 단백질을 일차결합 상태로 단순하게 만드는 물질이다. Polyacrylamide gel이란, acrylamide 가 같은 2개의 functional side chain을 가지는 화합물과 교차되면서 만들어지는polymer gel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Agarose gel을 쓰지 않는 이유는 agarose는 몇백 몇천 bp짜리과의 단백질을 전기영동 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비교적 작은 단백질을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pore size가 더 작은 acrylamide gel을 사용한다.
Bisacrylamide로 만든 gel은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고, SDS처리된 단백질이 지나가는 구멍을 형성한다. 이 구멍의 크기는 acrylamide에 비해 bisacrylamide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감소한다. acrylamide와 bisacrylamide를 29:1 비율로 섞어 만든다.
Disc gel 전기영동은 두 가지 종류의 gel을 사용하는 전기 영동법이다. 두 gel의 pH나 이온 강도, 조성은 모두 불연속적이다. 위쪽 부분의 gel은 stacking gel, 밑의 gel은 running gel 이라고 한다. Acrylamide의 농도는 stacking은 주로 3~5%이고, running에서는 6~15%이다. pH는 각각6.5, 8.5 에서 사용한다.
전기영동 시 넣어주는 완충용액에 존재하는 glycine은 음전하를 띄거나 net charge가 0인 zwitter 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참고자료
·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3rd Ed. Vol.3 chapter 1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