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bstract
2. Experiment
3. Result & Discussion
4. Conclusion
본문내용
1. Abstract
금, 은 나노 입자의 합성 실험은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고 그의 다양한 특징(틴들현상, 브라운 운동 등)을 이해하며, DLS와 zeta potential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안정성, 흡광도, 지름 등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AuNPs, AuNPs-NaCl, AgNPs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2. Experiment-(2)실험 방법을 토대로 실험을 진행하여 마지막에 DLS, Zetapotential을 측정하였다. 3.Result & Discussion- (2)Discussion에서는 이러한 측정값을 토대로 결과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은 나노 합성 시 실험상 오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이론 중 하나인 플라즈몬 공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Experiment
(1) 실험 기기 및 시약
-hot plate/ 마그네틱 바
-적색, 녹색 레이저
-시약 (Table 1, Table 2)
(2) 실험 방법
[실험1]
(1) 왕수 제조 후 비커와 마그네틱 바를 담가 약 10분간 왕수처리 한다.
(2) 증류수 200ml를 가열하고 끓인 후 을 6ml씩 첨가한다.
(3) 용액이 붉게 변하면 상온에서 식힌다.
(4) 적색, 녹색 레이저를 이용하여 틴들효과를 관찰한다.
(5) 50ml를 덜어내고 용액 5ml를 첨가한 후 흡광도를 측정한다.
[실험2]
(1) 비커와 마그네틱 바를 왕수처리 한다.
(2) 증류수 80ml를 가열하여 끓인 후 을 10ml씩 첨가한다.
(3) 용액이 회색으로 변할 때까지 가열한다.
(4) 적색, 녹색 레이저를 이용해 틴들효과를 관찰한다.
(5) [실험1], [실험2] 용액을 DLS와 Zeta Potential을 측정한다.
3. Result & Discussion
(1) 실험결과
[실험1]
금 나노 실험의 경우 적색, 녹색 레이저를 비추었을 때, 적색 레이저의 경로는 나타났지만, 녹색 레이저의 경우 빛이 흡수되어 틴들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참고자료
· 2018 2학기 화공 기초 이론 및 실험2 실험 노트
· 이홍인, 2014,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95-298p
· 일반화학교재연구회, 2013, “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613-616p
· 국윤환 외 1명, 1972, “콜로이드와 계면활성제, 대광서림, 9-11p
· 팽종인, 1999, “수질관리”, 신광문화사, 90-94p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