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생활 중 가장 경계해야할 위험요인 중 하나인 낙상은 쓰러지거나 넘어지고 떨어지는 인과적인 충격으로 인해 신체적인 훼손을 입는 것을 뜻한다.
낙상사고는 주로 노인들에게 많이 발생하지만 젊은사람들도 자주 낙상 사고를 당하여 해마다 발생률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낙상사고는 일상생활 중 걷는동안이나 계단이나 침대를 오르내리는 동안에도 그리고 지팡이나 보행기 같은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동안에도, 화장실을 사용하거나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하는 동안에 발생하기도한다.
2. 낙상사고 발생원인
(1) 신경학적 질환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학적 질환이 낙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치매는 보행의 변화와 보행실조, 고유수용감각기의 변화를 유발시킨다. 짧은 보폭의 느린 걸음과 동시 입각기의 증가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환자는 주위환경에서 공간개념과 위험요인을 판단하는 능력 상실도 낙상이나 추락의 위험요인이다.
뇌졸중은 지각과 감각의 손상, 발목 굴곡근의 약화를 가지고 있는 편마비성 보행, 빠른 피로, 의사결정의 손상 등으로 낙상의 위험이 높다.
파킨슨병은 보행과 자세조절에 변화가 발생하여 균형상실과 낙상이나 추락의 위험이 매우 높다. 강직성 척추염이나 류마티스관절염을 앓고 있는 노인은 일반적으로 고유수용감각기의 기능부전이 발생하여 비정상보행과 자세에서의 기능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2) 정신심리적 질환
우울증이 있는 노인은 집중력 감소로 위험환경에 대한 지각을 못하고 낙상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3) 균형능력의 상실
고령화에 따른 자세이동과 균형 상실은 시각, 전정기관, 고유수용체의 기능저하는 자세전이(postural sway)를 증가시키고, 균형정위반응(righting reaction)이 감소하여 자세변화 시 균형능력을 상실시킬 수 있다.
(4) 시각능력의 저하
낙상과 관계된 시각기능은 시각의 정확성 감소, 색의 식별능력 감소, 외측과 상부 시야의 시각능력 감소, 암순 반응, 색체지각을 못하는 현상, 눈부심 현상, 거리조절 능력의 감소 등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