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지혜를 사랑하는 학문이며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의 삶이다. 철학은 인생에 대한 호기심과 이에 대한 해석의 지혜를 사랑하는데서 출발한다. 왜 사는가? 어떻게 살기를 바라는가? 어떤 사람이 좋다고 보는가? 등 일상적이고 평범한 질문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때 철학의 세계에 들어선 것이다. 철학은 모든 사람에게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식과 행복한 삶을 설계하는 생활의 지혜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철학은 언제나 ‘실천적 삶의 문제’와 연관하여 발생하였고 발전하였다. ‘삶의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어떻게 하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나는 누구인가?’, ‘미래의 더 좋은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등의 실천적 물음은 모든 종류의 철학적 사유의 원천인 것이다.
인생이란 망망대해를 어떻게 항해할까? 무엇이 정말로 존재하는가? 등 질문이 이어지고 답은 쉽지가 않다. (1) 무엇이 정말로 존재하는가? 이 질문은 존재론이나 형이상학의 영역으로 세상이 어떤지 인간이 어떤지에 따라 삶의 방식, 목표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2)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이 주제는 인식론으로 앎이란 무엇인가를 따져본다. 우리가 진정으로 아는 게 있는지 묻는 것이다. (3)좋은 논증(argument)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은 논리학에 근거하는 것으로 논리학은 어떤 방식으로 논증을 제시하여 논리적인 설득력이 있는지를 따지는 학문이다.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이 논증은 좋은 논증인가? 설득력이 있는가? 그렇다. (4)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무엇을 추구하며 좋은 걸 추구하며 그럼 좋은 것은 무엇인가? 윤리학과 가치론에서 답을 추구한다. 좋은 것은 그 자체로 좋은 것이 있고 수단이기 때문에 좋은 것이 있다. 돈은 그 자체가 좋다기 보다는 좋은 걸 얻을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에 좋다. 궁극적으로 많은 철학자들은 좋은 것으로 행복을 꼽는다. 가치는 주체의 판단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개인, 문화, 시대에 따라 다르다. 어떻게 살아야 옳은 삶인가? 옳은 행동의 기준은 뭔가? 서양철학에는 두 가지 기준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