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발목관절 불안정성은 발목 인대 손상 후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대표 질환으로 발목을 접질린 뒤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발목을 자주 삐끗하고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발목 염좌 발생 환자 10명 중 2~3명에서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오래 방치하면 발목 연골이 손상되거나 관절염으로의 진행이 가속화되어 비교적 젊은 나이에 인공관절 수술이나 발목 유합술이 필요할수도 있다.
이 실습병원에서 발목관절 불안정성으로 인한 MBO수술은 흔하게 볼 수 있었고 수술과정과 치료등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어 케이스로 선정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1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진단명 : Left. 발목관절 불안정성
2) 정의 : 발목관절 불안정성이란 ?
발목을 잡아주고 있는 인대가 손상된다는 의미로 이를 족 관절 염좌라 하고 염좌가 반복되거나 손상의 정도가 커서 인대의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발목관절의 정상운동범위를 넘어서서 관절 낭, 주위인대, 근육에 손상을 입은 것이다.
발목 외측 인대가 늘어나거나 손상 및 파열되어 만성적으로 발목 접질림 현상이 나타나며 발목 뼈가 정상과는 다르게 기울여져 있어 통증이 유발된다.
발목 접질림 후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방치한 것이 원인이다.
3) 원인
발목이 심하게 삐었을 때 파열된 인대가 제대로 회복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상 초기에 근육통 정도로만 여기고 방치 할 경우 인대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아물게 되면 발목 관절에 불안정성이 생기게 된다. 심하게 한 두 번 정도 발목을 삔 이후에 늘어나거나 찢어진 상태로 인대 치유가 잘 되지 않게 되면 발목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게 된다.
보통 바깥쪽 복사뼈 밑에 있는 인대들이 가장 흔하게 다치게 되고 발목 바깥쪽에서 지지해 주는 힘이 약해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습관적으로 잘 삐게 된다.
참고자료
·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316-328p
·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1036-1043p
· 이한기 외 (2014), 해부학, 수문사. 175-177p
· 새나래병원 블로그 http://blog.daum.net/starhosp/333
· 대전센텀병원 홈페이지 http://www.djcentum.com/sub030402#non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