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중을 사로잡는 구약 내러티브 설교’ 내용 요약
1) 제1부 성경 본문에서 중심사상으로
2) 제2부 중심사상에서 설교문으로
2. ‘청중을 사로잡는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에 대한 평가 및 개인적 견해
1) 평가
2) 개인적 견해
본문내용
제1장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에 대한 도전
이 책의 저자 스티븐 D. 매튜슨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이야기를 좋아한다'는 것에서 책을 시작한다. 그리고 독자가 이야기의 틀에서 사고하는데 익숙해진 21세기의 현대적인 청중들에게 설교할 때, 어떻게 하나님의 진리를 실감나게 전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을 받고 생각해보게 한다. 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이제 교회가 구약의 이야기를 좀 더 세심하게 다룰 때가 되었고, 좀 더 효과적으로 설교하는 방법을 배워야 할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이 책이 구약 성경의 이야기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독자들은 그 방법들을 상당 부분 신약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이야기에도 같이 적용할 수 있다는 팁을 함께 남긴다.
저자는 설교자들의 구약의 내러티브 본문들을 강해하는 것을 도와주고 싶어 하며, 강해 설교와 관련해서 설교자가 염두에 두어야 할 확신 두 가지를 소개한다. 그것은 첫째, 강해 설교는 성경 본문에 대한 주해적인 강의 그 이상이기 때문에 작은 단어나 구절 단위에 집중하는 것보다는 단락 단위나 혹은 장면 단위에 집중하면서 설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 강해 설교 자체에는 본래적인 설교 형식이란 존재하지 않고 그 형식은 본문으로부터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특정 형식의 고집은 오히려 설교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저자는 설교자가 구약의 이야기 때문에 고생하는 이유로, 이야기를 사소한 것으로 경시하고, 이야기의 역할을 최소화하려는 경향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성경에서 한 이야기의 역할에 대한 잘못된 인식 때문이라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는 신약의 언어나 내용들이 구약에 비해서 다루기 쉬워 보이기 때문이고, 마지막 이유는 강해 설교의 특정한 형태에 붙잡혀 있기 때문이라 말한다. 따라서 저자는 구약의 내러티브를 설교하려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유동적이고 예술적인 방법을 독자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제1부 성경 본문에서 중심사상으로
제2장 기준과 주의사항들
이 책은 설교자가 내러티브 설교를 위해서 삼아야 할 기준과 주의 사항들이 있는데, 이는 설교를 위해서 본문을 선정할 때 이야기 전체를 ...... <중 략>
참고자료
· 스티븐 D. 매튜슨 「청중을 사로잡는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 이승진 역. Christian Literature Crusade, 2016.
· 이승진 「현재 한국교회의 설교 일문일답」. 2017년 3월 18일 [온라인 자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eopraxis&logNo=220960968191 2020년 2월 24일 접속
· 팀켈러 「팀 켈러의 설교을 읽고」. 2018년 3월 6일 [온라인 자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uckinize&logNo=221222910051 2020년 2월 25일 접속
· 이연길 「이야기 설교학」. 2016년 4월 28일 [온라인 자료] http://www.wordmission.org/wm/wm03/184 2020년 2월 26일 접속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