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bstract
이번 실험은 4번 실험인 transformation을 통하여 재조합된 DNA를 competent cell에 넣은 후 LB 배지에서 배양을 하여 생성된 Colony 중 하나를 pre culture 액체배지에서 배양을 한다. 이것을 main culture에 넣어 shaking incubator에서 배양을 시켜준다. 배양한 액체배지를 샘플링하여 6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O.D값이 0.6~0.8 사이가 되면 IPTG를 넣어주어 단백질 발현을 잘 하도록 만들어주고 UV transilluminator를 통해 eGFP에 의해 형광을 띄는지 관찰을 하여 Plasmid DNA에 재조합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2. Experiment
시약 및 장치
- IPTG(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1000X)) : 대장균 Lactose Operon의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유도물질(Inducer)로 알로락토오스(Allolactose)와 달리 β-galactosidase에 의해 가수분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Lac Operon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에 이용된다. Lac Operon의 억제물질에 결합하여 억제물질의 입체구조를 바꾸어 작동 인자와의 결합을 저지하여 Lac operon 내의 유전자 전사가 가능하게 한다.
- Ampicillin(1000X) : -lactam계 항생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한다.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60℃ 이하에서 사용해야 한다. selection marker로 사용된다.
- LB 배지 : 박테리아 성장에 주로 사용되며 영양소를 공급해주는 Yeast extract(효모추출물), 삼투압을 조절하여 세포가 터지지 않게 해주는 NaCl, 질소공급원으로 사용되는 Tryptone으로 구성되어있다.
- Shaking incubator : 진탕배양기라고도 하며 미생물을 접종한 액체배지를 흔들어 공기중 산소의 이동을 촉진시켜 배양하는 장치이다.
참고자료
· “2019 생물화학공학이론 및 실험” 실험 노트
· Zum 백과, 위키백과, 두산백과
· 김민주 외 5명, 2018, “일반생물학실험”, 석당
· 강영희, 2008, “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
· https://blog.naver.com/ssagaa1/221490673084
· https://blog.naver.com/dyner/221187607900
· Campbell 외 4인, 2011, “생명과학”, 바이오사이언스, p308~312
· 5조 실험 세미나 PP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