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크로드를 통한 유리의 신라유입에 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라유입 유리의 종류
2) 남방 해상 실크로드를 통한 유리 유입의 가능성
3) 북방 실크로드에서의 소그드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마 (비잔티움) 유리용기는 한반도에서도 발견되었는데, 1973-75년 황남대총 발굴 때 나온 것을 비롯해 천마총, 금령총, 서봉총 등에서 20여점의 로마 유리용기가 출토되었다. 그러나 금관총, 천마총, 황남대총 같이 대체로 규모가 큰 고분에서는 3만 여점의 토기들이 출토되는데 반해 로마 유리용기의 출토는 그 수가 극히 적다. 이는 신라에서 제작되지 않던 물건이라는 점을 알려준다. 유리는 단순히 신라의 문화재 뿐 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의 문물과 문화의 교류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렇다면 이 유리용기는 어떤 경로를 통해 신라로 유입되었을까? 신라는 한반도 중 동남쪽이라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고구려나 북위 등을 통해 전달되었다고 보며 다른 연구자들은 남방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유입되었다고도 주장한다. 실제 그 유물의 전달 경로가 어떤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남방 실크로드 즉 바닷길을 통해서 유리가 유입이 되었을 가능성은 없는지 생각해 보고 그 가설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북방 실크로드를 통한 유입 경로를 주장하고 있고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북방 육로 실크로드이기 때문에 로마유리의 유입이 북방 실크로드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가설 또한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권현주, 「고대 신라 서방 유물에 관한 연구」, 『패션과 니트』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10), pp.82~89
김차규, 「로마(비잔티움)유리용기의 신라유입 과정에 대한 해석: 5~6세기 초 비잔티움의 동방 교역정책과 관련하여」, 『서양중세사연구』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09), pp.1~27
김차규, 「로마유리의 신라유입 과정에 대한 해석」, 『서양중세사연구』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09), pp.13~25
이한상, 「신라고분 속 외래문물의 조사와 연구」, 『중앙고고연구』 (중앙문화재연구원, 2010), pp.61-83
임범재, 「실크로드 美術史 小考」, 『한국미학예술학회지』 (한국미학예술학회, 1995), pp.161-179
박세욱, 「유리의 동아시아 전파에 관한 일고찰」, 『한국의 철학』 (경북대학교퇴계연구소, 2006), pp.301-328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로 들어가다」, 『한국사 시민강좌』 (일조각,2009), pp.273~299
문화재청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malipres
http://blog.daum.net/kinhj4801/15960636
네이버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