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례
12세 여아가 2개월 전에 1형 당뇨병 진단을 받고 인슐린 주사를 맞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무서워했지만, 현재는 자가 주사가 가능하다. 인슐린 수치 공복 시 혈당 200mg/dl로 인슐린 자가 주사 중이다.
당이나 탄수화물을 좋아해서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향이 있어 어머님이 고민에 빠졌다. 아이는 먹는 것을 좋아하고 살이 찌는 것은 싫어해, 많이 먹은 날은 과도하게 운동을 한다. 이런 경향으로 혈당이 300mg/dl이 넘거나 60mg/dl이하로 저하된 적도 있었다.
부모와 아이는 투여를 잘하면 건강상 문제가 없지만 자가주사를 잘못하면 고혈당 혹은 저혈당에 빠질까봐 불안해한다.
Ⅱ. 문헌고찰
1.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1) 특징
(1)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의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만성질환(인슐린 대사 장애)
(2)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소아형 당뇨)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으로 분류
2) 원인
원인불명, 유전, 자가 면역 질환, 바이러스 감염 등
3) 병태생리
(1)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Ⅰ형 당뇨병): 췌장의 바이러스 감염 → β세포 파괴 → 인슐린 결핍 → 혈당증가(인슐린의 절대량 결핍)
(2)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Ⅱ형 당뇨병): 인슐린의 분비 장애와 말초 조직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 → 혈당 증가(인슐린의 상대적 결핍)
5) 진단
(1) 혈액 검사, 전해질 검사, 당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
① 평상 시 혈당이 200mg/dL
② 8시간 공복 후 측정한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
③ 경구 포도당 복용 2시간 후에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
④ 당화혈색소 6.5% 이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