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족(豪族)의 시대
- 최초 등록일
- 2020.05.09
- 최종 저작일
- 2013.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호족(豪族)의 시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호족의 등장
2). 호족의 특성과 유형
3) 호족들의 연합과 고려의 건국
4) 고려의 대(對) 호족 정책
5) 호족의 지배층화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시대의 마지막 시기는 언제나 혼란이기 마련이다. 고대 유럽에서 최고의 황금기를 구가하였던 로마(rome)도 결국에는 게르만 용병대장 오도아케르에게 나라를 빼앗겼고, 중국인들이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였다고 자랑스럽게 말하는 당(唐)도 안․사의 난 이후 여러 반란을 거쳐 허망하게 망해버리고 말았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최초의 통일국가라고 여겨왔던 통일신라도 나라의 말기에 엄청난 혼란을 겪게 되었다. 신라 전역에서 농민들의 반란이 일어났으며, 지방의 세력가들은 기존의 진골귀족의 통치체제에 반감을 느낀 나머지 스스로 자립하여 갔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기존의 진골세력으로 대표되었던 신라의 세력과는 달리, 신라의 지방에서 새로운 세력의 움직임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들은 각 지방의 정치권, 경제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불교 사상인 선종(禪宗)과 결합하여 그 지방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호족(豪族)’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떻게 성장하였을까? 또한, 호족은 고려가 세워진 이후에 어떠한 방식으로 고려의 지배층에 편입되었을까? 이 발제문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려고 한다.
2. 본론
1). 호족의 등장
호족의 등장을 논하기 전에, 신라 말의 정치적 상황을 간략하게 이야기하여야 할 것이다. 신라의 최 전성기라고 여기는 신라 중대(中代) 이후, 신라의 지배세력인 진골귀족은 배타적인 권력을 독점해 나아갔다. 주요한 관직은 모두 진골만이 얻을 수 있었다. 지방에 살고 있는 세력가들이나 당시 신라의 지식계급층인 6두품세력은 자연히 고위관직에 다가서는 것이 힘들었다. 그런데 고위관직을 얻은 진골귀족 사이에서도 혜공왕의 죽음으로 인하여 야기된 내물왕(奈勿王) 계와 원성왕(元聖王)계의 다툼이 왕권에 대한 다툼으로 확대되었다. 이 다툼은 신라의 혜공왕 4년(768)에 일어난 대공(大恭)의 난을 첫 봉화로 하는 진골귀족들의 왕위쟁탈전이 시초였다.
참고 자료
朴龍雲,『高麗時代史』, 一志社, 1988.
이기백,『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洪承基,『高麗政治史硏究』, 一潮閣,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