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벌 귀족사회의 동요(고려중기 정치 세력의 갈등으로 표면화된 귀족사회의 모순)』
- 최초 등록일
- 2020.05.09
- 최종 저작일
- 2013.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문벌 귀족사회의 동요(고려중기 정치 세력의 갈등으로 표면화된 귀족사회의 모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문벌 귀족이란?
1) 문벌 귀족의 형성 과정
2) 문벌 귀족의 보수성
3. 이자겸(李資謙)의 난
4. 묘청(妙淸)의 난
5.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성종 이후 중앙 집권적인 국가 체제가 확립됨에 따라 중앙에서 새로운 지배층이 형성되어 갔다. 이들은 신라 말기 지방 호족 출신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고위 관직자들을 배출하였으며, 문벌 귀족이라 불리었다. 문벌 귀족들은 관직에 따라 과전을 받고, 자손에게 세습이 허용되는 공음전과 관직에 따라 혜택을 받았으며, 자기들끼리 혼인 관계를 맺는 폐쇄적인 통혼권을 형성하였고, 때로는 황실과도 혼인 관계를 맺어 외척으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치 권력과 경제력을 거의 독점하여 정국을 주도해 나가기도 하였다. 문종에서 인종 대에 이르는 시기에 전통적인 문벌 귀족과 지방 출신의 신진관료 세력 사이의 대립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것의 예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을 볼 수 있다. 본 발제문에서는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을 통하여 문벌귀족 사회의 동요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2. 문벌 귀족이란?
1) 문벌 귀족의 형성 과정
우선 문벌 귀족 집권기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선 고려 중기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목종(穆宗)~정종(靖宗) 시기에는 초기 이래의 자주적이고 개혁적인 성격이 아직 남아있지만, 문종(文宗)~의종(毅宗) 시기에 이르면서 집권 세력인 문벌 귀족들이 보수적 성격을 띠게 되어 신라의 진골 귀족과 비슷해진다.
참고 자료
『高麗史』
김갑동. 『고려전기 정치사』. 일지사, 2005.
김두진, 『고려시대 사상사 산책』,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9.
백지원, 『고려왕조실록』, 진명출판사, 2010.
송은명. 『인물로 보는 고려사』. 시아출판사, 2003.
이정란, 『주제로 보는 한국사 2 -고려편』,고즈윈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