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이클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경영학 및 무역학, 국제통상학 과제 자료로 활용하세요!
고퀄 자료이니 믿고 구매하셔도 좋습니다 ^^
목차
Ⅰ. 영화산업의 특성 및 현황
1. 영화산업의 정의 및 특성
2. 세계 영화산업 현황
3. 한국 영화산업 현황
Ⅱ. 한국 영화산업의 경쟁력 분석
1. 생산요소 분석
2. 수요 분석
3. 구조 분석
Ⅲ. 한국 영화산업의 경쟁력 개선 방안
1. 다각화 및 공동제작 활성화를 통한 GVC 형성
2. 인프라 조성과 혁신
3. 영화 상품의 다양성 제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영화산업의 특성 및 현황
1. 영화산업의 정의 및 특성
1) 영화산업의 정의
‘영화산업’이란, 음악, 미술, 문학, 사상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지는 예술작품으로서의 영화를 ‘상품’으로 생산하는 생산자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영화 상품은 ‘기획, 제작, 투자, 배급, 상영’이라는 여러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생산되므로 이들 부문 전체가 영화산업에 포괄된다고 할 수 있다.
영화산업은 2000년 전후부터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의 중요 동력으로 부각되어 왔으며, 파급력이 강해 하나의 개별 상품이 문화산업의 전반적인 경제적 수익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영화산업을 분석하거나 다룰 때는 산업연관효과와 그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의 차원까지 함께 모색해야 할 것이다.
2) 영화산업의 경제적 특성
(1) 규모의 경제
영화 상품은 규모의 경제적 특성을 가진다. 영화의 순 제작비는 비교적 많이 드는 편이지만, 완성 이후 유통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은 매우 작고 추가적인 관람객에 의해 발생하는 콘텐츠 자체에 대한 한계비용 또한 제로에 가깝기 때문이다. 즉, 관객의 수가 증가할수록 평균비용은 감소하는 구조를 가지며, 관람객 수 증가가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2) 경험재
영화가 가진 정보와 엔터테인먼트적 가치는 경험을 통해서만 확인될 수 있다. 영화를 관람하기 전까지는 상품의 특성을 제대로 알 수도 없고 어떠한 효용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특성은 공급자와 수요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을 유발하게 된다.
(3) 짧은 제품 수명
예술로서의 영화 작품은 반영구적으로 존속할 수 있으나, 상품으로서의 영화는 제품수명주기가 매우 짧은 편에 속한다. 이는 영화의 상품성이 1차 유통망인 극장 상영에서 대부분 결정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고정민 외, “영화산업 시장 분석”, 미래산업전략연구소, 2017.
김동우, “영화산업 현황 및 재무구조 분석”,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2.
김영수, “세계 영화제작 및 소비시장 동향과 시사점”,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이찬도, “한국 영화의 무역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2권4호(2010).
최동오, “한국 영화산업의 수출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무역통상학회지」, 제11권제3호(2011).
최봉현,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 파급 효과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16.
현오석, “한국영화의 가치사슬 고도화 및 복합수출산업화 방안”, 한국무역협회, 2005.
“2016 영화전문가 설문조사”, 산업연구원, 2016.
“2018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영화진흥위원회, 2019.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survey of the theatrical and home entertainment market environment“, MPAA, 2019.
“영화관람 및 영화제 관련 인식조사”, 트렌드모니터,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