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홀로코스트"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머리말2. 유럽과 한국의 홀로코스트
2-1 나치의 유대인학살
2-2 제주4·3사건
3. 인종과 이념의 차이
4. 맺음말
본문내용
전 세계적으로 홀로코스트에 대해 대표적인 사건을 말해보라하면 대부분 독일 나치의 유태인 대량학살을 말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사 가운데 가장 수치수럽고 악한 시대로 나타난다. 나치의 홀로코스트는 본래 유태인들이 제사에 쓰는 구운 희생물을 뜻했지만 현재에는 정상적인 역사과정의 밖에 있는 신적인 힘을 갖는 학살사건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 단어는 1961년 예루살렘에서 여린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에 대한 재판 때부터 널리 사용되었다.홀로코스트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70년대 들어와서이다. 60년대에 홀로코스트의 주된 책임자 가운데 한 사람인 아이히만이 이스라엘 정보기관에 의해 체포되어 사형을 당하는 사건이 일어났으며 이스라엘을 포함한 외국학자들이 자극을 가했던 것이다. 또한 1979년에는 홀로코스트를 주제로 하는 미국의 소우프 오페라가 TV 프로그램으로 방송되며 대중적 관심을 고조시켰다. 홀로코스트 해석에는 두 개의 논리가 충돌한다고 한다. 하나는 의도주의이고 또 하나는 구조주의이다. 의도주의는 히틀러가 처음부터 유태인의 물리적인 절멸을 생각했고, 권력 장악 후에 그것을 실제로 이행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한 역사가는 대표적으로 L.다비도비츠, J.톨란트, G.플레밍, K.힐데브란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방법은 논리적인 문제가 제기되는데 실제로 인간은 하나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무조건적으로 행동으로 옮기진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이는 모순적이다. 그리고 추리의 영역에 머물러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히틀러가 그 어디에서도 유태인을 죽여라 라는 등 학살을 직접 명령했다는 증거는 없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히틀러라는 사람에게 모든 책임을 줌으로써 독일 전체 사람들에게 도덕적 책임감을 없애준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구조적인 방법은 나치 정권의 구조를 원인으로 꼽는다. 나치 정책은 비체계적이고 임시 변통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어떤 장기적인 목표나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니다.
참고 자료
강창일, 「뒤틀린 한국현대사와 제주4·3사건」, 『역사와 세계』, 제27호(2003).방청야, 「1930년대 독일 나치즘과 반유대주의」,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최호근, 「나치 독일 정규군의 유대인 학살과 과거사 극복」, 『제노사이드연구』 제2권(2007).
최형식, 「나치의 유대인 탄압과 저항」, 『민족연구』, 제70권(2017).
이진모, 「나치의 유태인 학살과 ‘평범한’ 독일인들의 역할」, 『역사비평』, 제42호(1998).
최형식, 「나치체제에서의 독일 유대인의 저항 연구 –도피, 은신 그리고 자살을 중심으로-」, 『독일연구』, 제29호(2015).
이경일, 「독일내 반유대주의와 골드하겐 논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배정, 「독일의 근대적 반유대주의에 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김기련, 「히틀러의 유대인 정책과 고백교회의 투쟁」, 『신학사상』, 제169호(2015).
강철구, 「나치 독일과 홀로코스트」, 『이화사학연구』. 제27권(2000).
김종민, 「제주4.3항쟁-대규모 민중학살의 진상」, 『역사비평』, 제42호(1998).
박찬식, 「제주 4·3사건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한국 근현대사 연구』, 제84권(2018).
허호준, 「제주 4·3항쟁과 제노사이드」, 『4.3과 역사』, 제4권(2004).
김창후, 「제주 4·3항쟁 45주년 특별기획 1948년 4·3항쟁, 봉기와 학살의 전모」, 『역사비평』, 제20호(1993).
최용찬 「유대인 대학살에 관한 일상사적 연구의 쾌거 크리스토퍼 R. 브라우닝, 이진모 역, 『아주 평범한 사람들』- 101예비경찰대대와 유대인 학살』(책과함께, 2010)」, 『독일연구』, 제20권(2010).
최홍석, 「역사가의 홀로코스트 논쟁과 그 역사화」,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책
송충기·김남섭 외 10명, 『세계화 시대의 서양현대사』, (파주, 아카넷,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