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견훤정권의 성립과 호족연합정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견훤정권 성립에 있어서 무진주의 의미와 중요성.
1. 신라 하대 전라남도 지역의 상황 .
2. 견훤의 서남해 방수군 파견과 무진주 점령.
3. 견훤에게 서남해 해상세력의 중요성 및 의미.
Ⅲ. 견훤의 호족연합정책.
1. 귀부의 형식을 통한 호족연합정책.
2. 혼인정책을 통한 호족연합정책.
Ⅳ. 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신라하대에 이르러 중앙에서는 진골귀족들 사이에 왕위계승을 둘러싼 치열한 분쟁이 전개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신라 중앙정부의 통치력은 약화되었고, 정부는 지방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해 나갔다. 한편 지방에서는 낙향한 귀족이나 토착세력들이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된 틈을 타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여 호족으로 성장하였다. 호족은 지방에서 반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하였고 여러 권한을 행사하여 농민들을 수탈하였다. 이것은 진성여왕대 이르러 전국적으로 반란세력으로 확산된다.
이들은 거의 농민들의 불만을 기반으로 하여 일어났는데, 견훤도 이러한 정세에 편승하여 서남해지역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마침내 견훤은 무진주를 습격하여 후백제를 세우게 된다. 그가 군사를 일으켜 정권을 세울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식으로 주변 세력들을 포섭하였을까. 본 글에서는 무진주를 중심으로 한 견훤정권의 성립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견훤정권 성립에 있어서 무진주의 의미와 중요성.
- 1. 신라 하대 전라남도 지역의 상황.
신라 하대에 들어서면서 가뭄과 홍수가 잇따라 발생하며 일찍이 경험한적 없는 식량기근이 야기 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유민(流民)이 발생했다. 물론 식량기근은 신라말기에만 있었던 현상이 아니었다. 여느 시대와 마찬가지로 신라 통일기에 수재(水災)와 기근(機根)은 마치 전염병처럼 만연했다. 그렇지만 국가권력이 강력했던 중대 전반기에는 이 같은 위기를 잘 극복했다. 성덕왕 때만 할지라도 흉년이 들면 곡식을 풀어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할만한 역량이 있었던 것을 보면 능히 짐작 할 만 할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그러던 상황이 신라 말기, 헌덕왕대에 들어가면서부터 사정은 악화될 대로 악화된다. 곡식을 풀어 빈민들을 구재할 만한 여건도 되지 않는데다 곡식을 풀더라도 그 효과가 미비해 도리어 헌덕왕 7년과 11년, 두 차례에 걸쳐 초적이 봉기(蜂起)하는 등 민심이 매우 흉흉해졌다.
참고 자료
강봉룡, 「견훤의 세력기반 확대와 전주 정도」, 『후백제 견훤정권과 전주』, 주류성, 2001.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11, 탐구당, 2003.
김용선『민족통합의 역사와 과제』, 한림대학교 민족통합연구소, 2000.
문안식,「견훤의 후백제 건국과 전남지역 호족세력의 추이」,『경주사학』22권, 경주사학회, 2003.
변동명, 「김총의 성황신 추앙과 여수.순천」,『전남사학』22, 전남사학회, 2004.
신호철, 「후삼국시대의 호족과 국왕」, 『후삼국시대 호족연구』, 개신, 2002.
이기동, 「한국사 11-신라의 쇠퇴와 후삼국」,『한국사』11권, 1996.
정청주, 「신라말․고려초 순천지역의 호족」, 『전남사학』18집, 전남사학회, 2002.
홍승기,「후삼국의 분열과 왕건에 의한 통일」,『한국사 시민강좌5집』, 일조각,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