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목표
-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거나 촉진하는 요인에 대해 2일 안에 2개 이상을 말할 수 있다.
- 퇴원 전까지 잘 짰다는 느낌을 표현한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잠을 잘 못 자요
- 저녁에 귀신이 나올 것 같아요
- 옆에 애기가 울고 시끄러워서 저녁에 못 자겠어요
- 어제는 10시에 누워서 12시에 잤어요.
- 자고 있는데 아침에 엉덩이 주사를 맞아서 자다가 깼어요.
객관적 자료
- 피곤해 보이는 모습을 자주 관찰함.
- 점심 먹고 낮잠을 자는 모습을 목격하였다.
간호계획
<진단적 지시>
1.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1-1. 대상자에게 잠에 들기까지 몇 분의 시간이 소요되는지 사정한다.
1-2. 하루 중 낮잠 회수와, 시간을 사정한다.
1-3. 아침에 일어났을 때의 개운한지 여부를 사정한다.
1-4. 입원 전의 수면 습관을 사정한다.
<치료적 지시>
-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자기 전 따뜻한 우유를 마시도록 권유한다.
- 낮 동안의 활동을 증진시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