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불교의 서구화 가정에 따른 반문화 히피세력의 등장에 관한 레포트 보고서입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 Counter-Culture 히피세력 등장
II. 본론 : 서구 속의 불교, 불교의 서구화
III. 결론 : 앞으로 불교의 남아있는 과제
Ⅳ. 참고 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맨 처음 서구화세력들이 기존에 있던 문화를 뒤집어 놓은 시대가 있는데 바로 히피세력의 등장이다. 히피세력 등장으로 인하여 ‘산업산회의 문화’로 요약되는 사고방식들과 상반되는 정치적 견해, 생활양식 등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들은 완전한 자유와 일탈을 꿈꿨고, 폭력적인 성격도 있었지만 평화적이었던 반문화(counter culture)의 운동을 보여주었다.
반문화(counter-culture)운동을 하면서 두 가지 경향을 지적할 수 있는 것이 반체제론 자들은 사회적 불평등과 정치 체제를 거부하는 투사들과 그들의 대학교에서 모든 형태의 권위에 맞서 궐기하는 시위를 우선적인 행동수단으로 삼았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비폭력의 종교’인 불교에 입문하였다.
참고자료
· 크리스티안 생-장-폴랭 저 성기완 옮 『히피와 반문화 60년대 잃어버린 유토피아의 추억』
· 문학과지성사 2015
· 이연동 저 『문화부족의 사회 히피에서 폐인까지』 책세상 2005
· 峰島旭雄 저 김진기 옮 불교시대사, 『서양에서 본 불교: 불교와 서구사상의 비교연구』
· 불교시대사 1995
· 김성철 – 불교하는 사람들 138p
· 김성철, 참여불교론 – 『제 2강 진화론과 뇌과학으로 조명한 불교』
· 『제 3강 한국종교의 대외종속성과 불교 부흥의길』
· 서구불교운동의 문화사적 조명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