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의 역사와 함께한 종교 불교의 사찰의 가람배치에 대해 정리한 레포트이다. 다양한 가람배치 중 1탑 3금당식과 1탑 1금당식, 쌍탑가람식에 대해 소개하고 각 배치별 예시를 소개하여 편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불교미술사나 건축사, 답사자료로 사용하기를 추천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1탑 3금당식
1)평양 정릉사지
2)황룡사
3.1탑 1금당식
1)정림사지
2)군수리 사지
4.쌍탑식 가람배치
1)사천왕사지
2)감은사지
본문내용
1.들어가며
이번 발제에서는 사찰의 가람배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한다. 가람은 인도어 승가라마의 줄임말로 절에서의 여러 건축물을 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남북자오선을 축으로하여 중문, 탑, 금당, 강당 등의 배치에 관한 방법이다.
그 배치는 시대와 종파에 따라 다르다. 한문으로 승가람마(僧伽藍摩)로 표기되며, 승가란 중(衆)·람마(藍摩)란 원(園)의 뜻으로 중원, 즉 여러 승려들이 한데 모여 불도를 닦는 곳이다. 이것을 후세에 가람(伽藍)이라 부르게 되었다. 가람배치의 종류로는 크게 1탑 3금당식과 1탑 1금당식, 쌍탑가람식에 대해 조사를 했으며 이 가람을 사용한 사찰에 대해 소개하고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1탑 3금당식
왕권을 강화하고 국가의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불교를 받아들인 삼국은 이후 거대한 탑을 중심에 두는 탑 중심식 사찰을 건립하였다. 그 중 고구려는 탑을 중심으로 남북에 문과 금당, 동서로 두 개의 금당을 두는 1탑 3금당식(一塔三金堂式)가람 배치를 보인다.
1탑 3금당식 가람배치는 탑의 삼면을 금당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 품(品)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품(品)자형 가람 배치라고 부르기도 하고 ‘ㄷ’자로 돌았다고 하여 회탑식(回塔式)이라고도 한다.
고구려 지역의 품(品)자형 1탑 3금당식 가람배치에서는 3금당의 정면이 모두 탑을 향하고 있다. 고구려의 1탑 3금당식 가람배치는 팔각목탑을 중심으로 동, 서, 북쪽에 3개의 금당이 배치되는 형태가 많았다.
회탑식 1탑 3금당식 가람배치는 백제와 신라에서는 보이지 않는 양식이다. 고구려 가람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목탑이 팔각 목조건축으로 되었다는 것이다. 이 양식은 고구려가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북조의 사찰에 세운 팔각, 12각 다층목탑을 고구려식으로 정착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람 배치는 『사기(史記)』의 천관서(天官書)에 나타난 오성좌(五星座)를 그대로 적용한 중국의 궁궐 배치법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에 따른다면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궁궐 배치법에서 영향을 받은 고구려의 가람 배치는 탑, 즉 부처를 중심에 둠으로써 부처와 왕을 동일시하는 왕즉불(王卽佛) 사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문옥현, 『백제 사비기 1탑1금당식 사찰의 조영과 전개』, 한국학논총 제36집, 2011,
유홍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강의1』, 눌와, 2010
『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4 충남』, 돌배게, 1996
민경선, 『백제 사비기 사찰의 가람배치 변화 양상에 대한 일고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1
박만식·이달훈, 『백제가람지의 연구-정림사지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982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 『클릭, 한국미술사 빗살무늬토기에서 모더니즘까지』, 예경, 2011
정재훈, 『한국전통조경』, 조경, 2005
박진호, 『황룡사, 세계의 중심을 꿈꾸다』, 수막새, 2006
최동군, 『나도 문화해설사가 될 수 있다 사찰편』, 담디, 2012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4』, 창비, 2011
민경선, 『백제 사비기 사찰의 가람배치 변화양상에 대한 고찰』, 고문학76집, 2011
김성우, 『중국 및 고구려의 영향관계로 본 백제 1탑1금당 형식 불사 배치계획』,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30권 제8호 ,2014
박윤배, 『쌍탑식가람배치의 기원을 통한 신라와 수의 관계』, China 연구 제14집,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