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간호진단
1. 간호진단
2.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1. 자살사고와 관련된 자살 위험성
#2. 부친(부친만 인정하고 자신은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과 관련된 자긍심 저하
#3. 무의욕과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위생)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진단 기준(DSM-5)
3. 원인
4. 행동 특성
5. 치료
6. scale
7. 경과의 변경 인자
8. 발달과 경과
9. 자살
본문내용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1. 자살사고와 관련된 자살 위험성
주관적 자료
①“이제 자살시도를 해보니까 겁이 안나요. 지금도 여기를 둘러보면 죽을 수 있는 방법이 생각나요. 형광등 뜯어서 전선으로 목매면 되잖아요.”
②“그냥 문득 죽고 싶은 생각이 나요. 죽음에 대해 두렵지는 않아요. 한번은 실패했지만 이번에는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③“ 혼자서 술 먹을 때가 많은데 그럼 갑자기 죽을 자신이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객관적 자료
① 1회의 자살 시도.
② 자살사고 및 충동으로 자살시도를 하여 입원함
③SSI: 25점(연령집단에 비해 자살생각을 매우 많이 함)
-BDI: 25점(moderate depression)
-HDS: 28점
④ 욕구 사정에서 생리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가 10점으로 모든 욕구 중 최하위 점수로 체크 됨
⑤ 퇴원 후 금주에 대한 의지가 없으며 음주를 한다면 자살을 시도할 것이라고 표현함
<중 략>
Ⅰ문헌고찰
1. 정의
양극성 정동장애(Biopolar Ⅱ disorder)는 우울증 삽회 외에도 조증 또는 경조증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우울장애와 구분된다. DSM-5에서는 양극성장애를 제Ⅰ형 양극성 장애(주요우울증이나 조증, 혹은 혼합 삽화의 기간), 제Ⅱ형 양극성 장애(주요우울증과 경조증), 순환성 장애(주요우울증 삽화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우울증 삽화와 경조증 삽회의 기간)로 나뉜다.
2. 진단 기준(DSM-5)
1) 제 I 형 양극성장애(Bipolar I Disorder)
제I형 양극성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조증 삽화에 대한 다음의 진단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조증 삽화는 경조증이나 주요우울 삽화에 선행하거나 뒤따를 수 있다.
[조증삽화]
A.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의기양양하거나, 과민한 기분, 그리고 목표 지향적 활동과 에너지의 증가가 적어도 일주일간(만약 입원이 필요한 정도라면 기간과 상관없이)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 지속되는 분명한 기간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