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정신질환,치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고령화 사회
Ⅱ. 노인의 정의
Ⅲ. 노인의 정체성
Ⅳ. 노인에게서 보여 질 수 있는 질환
1. 치매
2. 노인의 우울증
3. 노인의 불안장애
4. 노인불안장애의 치료
Ⅴ. 성공적 노화를 위하여
1. 건강 유지
2. 사회적 지지
3. ‘성공적 노화’ 담론에 대한 비판
Ⅵ. 결론
본문내용
Ⅰ. 고령화 사회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만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7%를 넘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진입하였고, 2019년에는 이 비율이 14.4%로 고령사회(Aged Society)가 될 것으로 예견된다. 고령화는 단순한 고령 인구의 산술적 증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구조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령화에 따른 변화의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현 상황에 대한 진단적 평가가 필요하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인에 대한 기준도 많이 달라졌다. 예전에는 60세를 넘기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만 나이로 60세가 되면 환갑잔치를 성대히 치름으로써 그 동안 살아온 노고를 축하하고 또 앞으로의 장수를 기원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과 저출산 등으로 인해 만 60세가 되어도 자녀들이 결혼을 하지 않고, 부모님도 생존해 계시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근래에 환갑잔치 대신 칠순잔치를 하는 것이 추세인 것도 이런 이유들 때문이다. 그런데 그 동안 받아들여지던 만 60세 또는 65세로 노인을 정의하는 것은 과연 적절한가? 노인은 무엇이며 노인이 아니라는 것은 또 무엇인가? 이 글에서는 노인들이 생각하는 노인은 과연 어떤 존재인지, 그리고 성공적인 노화를 위하여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Ⅱ. 노인의 정의
의외로 노인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연령에 따라서, 노인의 여부를 구분하는 것은 사람마다 신체적 건강나이도 다르고 자신을 노인이라고 인정하는 연령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최영출 외, 2007). 노인은 동일한 집단이 아니라 성별, 계층, 연령 등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는 이질적인 집단이기 때문이다.
노인 연구에서 연령을 사회학적으로 이론화하기 위해서 역연령(chornological age), 사회적 연령(social age), 육체적 연령(physical age)로 구분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참고 자료
한금선, 손정남, 양승희, 박정원 외, 「정신건강간호학」수문사 (2017)
이경희, 김상남, 김영숙 외 「정신건강간호학」JMK(2016)
이경희, 김은자, 주세진, 김영숙, 김상남 외 , 「정신건강간호학」, 퍼시픽북스(2013)
김경식.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2004;17(1):17-31
김지혜. 고령화 사회의 ‘노년담론’과 ‘노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김지혜, 조성남. 고령화 사회의 노인 정체성 형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2004;12:271-297
김태면,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보건 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23(3):99-119
박기남. 성별·지역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 여성연구 2005;69(2):5-34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생애구술을 통해 본 노년의 자아. 한국노년학한국사회학 2004;24(3):13-29
APA/ eovy 역자 권준수 「DSM-5 정신질환의 통계 편람 제 5판」(2015)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성미혜 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정문각(2009)
도복늠 외, 「최신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2012)
의학교육 편집부 저,「for nurse REVIEW BOOK」, 의학교육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