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화감상
정신병은 환자뿐 아니라 환자 주변인물 또한 많은 고통을 느끼는 가슴 아픈 질병이라고 한다. 나는 학기 초 정신병원 실습을 나가면서 조현병이라는 질병을 처음 접하였고 조현병 환자들에게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교수님께서 과제에 대해 설명해 주실 때 뷰티풀마인드는 조현병을 아주 잘 다룬 영화라고 설명해 주셔서 주인공이 조현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안채로 영화를 봤지만 처음에는 대체 왜 이 영화가 조현병 관련 영화이며, 어떤 부분에서 조현병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지 못해서 답답했다. 하지만 영화가 중간쯤 흘렀을 때 정신병원 의사인 로젠박사가 엘리샤에게 절친한 동창이자 상상 속 룸메이트인 찰스 허만, 윌리엄 파처, 찰스의 조카인 마시가 존 내쉬 가 만들어낸 환상 속 인물이라는 것을 알려줌으로서 모든 상황이 이해되기 시작되었다. 로젠 박사가 존 내쉬의 망상에 대해 말할 때 마치 내가 엘리샤가 된 것처럼 충격을 받았다. 또한 엘리샤가 존 내쉬를 면회 온 상황에서 그동안 몰래 보낸 암호 해독 문서는 개봉도 되지 않았으며 연구소에는 윌리엄 파처라는 사람이 없다고 말했는데 그 내용을 듣고 존 내쉬는 사실을 부정하기 위해 칩을 숨겨놓은 팔을 보았다. 하지만 그 내용은 허구이기 때문에 칩은 없었고 존 내쉬는 자신이 아프다라는 사실을 조금씩 느끼게 되었다.
<중 략>
2. 증상사정
① 망상
- 존 내쉬는 자신이 암호 해독의 천재라고 믿으며 자신에게 엄청난 국방부의 기밀인 암호 해독을 하는 국가 기밀적 프로젝트가 맡겨졌다고 생각한다.
- 소련 스파이들의 암호를 분석하여 수백만의 사람을 구한다고 생각한다.
- 소련 스파이가 자신을 요주인물로 생각하고 믿고 항상 쫓기고 있다고 생각한다.
- 정신병원 의사를 소련스파이라고 생각하고 소련 스파이들이 자신을 정신병원에 감금했다 고 생각한다.
- 자신(존 내쉬) 팔에 삽입한 리튬 다이오드를 통해 비밀문서 우체통 접근번호를 알 수 있 다고 생각한다.
- 미술관에서 양복 입은 자들이 자신을 감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총을 쏘는 괴한들에게 쫒기고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 차영남 외 13인.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 박은영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현문사.
· 정신간호 총론-수문사(2017) 임숙빈 김선아 김성재 이숙 현명선 신성희 김석진 외 공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