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흡기계
신생아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대하고 즉각적인 변화는 첫 호흡이다. 화학적 자극(낮은 산소 농도,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 낮은pH), 온도, 촉각자극이 연수의 호흡중추를 흥분시켜 첫 호흡을 돕는다. 태아의 폐와 폐포에 가득 차 있는 액체들의 일부는 분만 과정 동안 정상적인 압력으로 제거되고 일부는 폐포 상피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계면활성제(Surfactant)에 의해 제거 되는데 미숙아는 계면활성제가 충분히 생산되지 않아 호흡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2)순환기계
신생아는 태아순환에서 출생 후 순환으로 혈액순환이 전환된다. 폐가 확장되면 흡입된 산소는 폐혈관을 확장시켜 폐혈관 저항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폐혈류를 증가시킨다. 폐가 혈액을 받아들이면 우심방, 우심실, 폐동맥의 압력이 낮아지며 동시에 제대 결찰의 결과, 혈액량이 증가하고 체순환 혈관 저항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기전은 좌측 심장의 압력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여 단락을 통해 흐르던 혈액순환은 역전된다. 단락의 폐쇄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은 혈액의 산소농도 증가와 내인성 프로스타글란딘과 산혈증의 감소이다. 신생아 초기에는 단락들을 통한 혈액의 역류로 인해 때때로 기능적 심잡음이 들릴 수 있다.
3)체온조절
신생아는 열생산에 비해 열손실이 많다. 첫 번째로 체중에 비해 큰 체표면적을 가지고 있고 두 번째로 얇은 피하지방 때문에 열 보유가 어렵다. 신생아의 열생성 기전은 갈색지방 조직을 통한 비떨림성 열생성(Non-shivering thermogenesis)이다. 주로 견갑골 사이, 목 주위, 액와, 그리고 흉골 뒤에 위치한다. 열소실과 관련된 신생아의 이러한 요인들로 바로 태어난 신생아는 빨리 건조시켜주고 마른 담요 등을 통해 보온을 유지시켜주거나 엄마와 피부 접촉 자세로 보온을 유지하기 위한 중재가 필수적이다. 또한 과열된 환경 안에서의 열 분산의 어려움도 문제가 되어 고체온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