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실습 골절(대퇴골절)Case Study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급성통증, 운동장애,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감염위험성, 낙상위험성
- 최초 등록일
- 2020.04.11
- 최종 저작일
- 2019.12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교수님한테 칭찬받았던 case study 입니다. 물론 A+받았습니다
간호진단 1) 급성통증 2) 운동장애 3)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4) 감염위험성 5)낙상위험성
간호 과정은 3번까지 내렸습니다. 간호 과정 또한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으로 나누었습니다.
Critical pathway, 약물, 검사 수치 등 자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case study 하실 때 큰 도움 되실것 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골절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절이란 외부의 힘이나 충격에 의하여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상태를 말한다. 골절을 입게 되면 골절된 뼈의 날카로운 끝이 주위의 혈관, 신경, 근육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초기 대응으로 합병증 예방을 막아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골절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골절환자의 간호사례연구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골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지식을 함양하여 조금이나마 환자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외과 병동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와 보호자와의 면담, 환자 사정, 환자의 EMR, 처치와 관찰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작성하였다.
골절(fracture)
1. 정의
뼈나 골 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이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골절은 상처의 형태, 골 전선, 골절의 원인 등에 따라 분류한다.
①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 개방골절: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상태이다.
- 폐쇄성 골절: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②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
- 완전 골절: 골막과 뼈가 모두 양쪽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골절편이 뚜렷이 나타나는 상태.
- 불완전 골절: 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상태.
- 충동골절 또는 감입골절: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 조직에 박히는 골절.
- 분쇄 골절: 골절편이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
참고 자료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7, P.1051-1064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2017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7
김정애 외 공저.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2018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2015
김원옥, 「근거기반 기본간호중재」, 수문사, 2015
약물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2019.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