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출혈은 서양인의 경우 뇌졸중 환자의 약 10-15%를 차지하며, 동양인 즉 한국 · 중국 · 일본인의 경우 약 50-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출혈은 치사율이 50%에 이르는 치명적인 뇌졸중의 한 형태이며, 생존 시에도 중추신경계 기능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뇌혈관 질환 중 가장 많이 발생하며 심장질환과 암 다음으로 사망원인 3위이다. 예전엔 단독질환으로 국내 사망원인 1위에 해당하는 질병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여 최근 뇌졸중 후 생존율은 약 85%에 이른다. 비록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긴 하나, 적절한 중재로 대상자의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이를 잘 숙지하여 대상자 치료에 힘써야 한다. 이번 사례연구에서는 뇌졸중의 원인 중 하나인 뇌출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에 대한 치료법과 간호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간호진단
피부통합성 장애와 관련된 통증
감염(post op)과 관련된 고체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위험성
2. 계획, 수행, 평가
(1) 자료요약
1) 건강문제 & 의미 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등, 둔부 부위 skin rash 대한 통증 호소
객관적 자료
FLACC 통증 사정 점수 3점
대상자는 다소 불편한 기색을 보인다.
관련 자료
대상자는 Drowsy 상태로, 장기간 부동자세로 수면을 취함
간호진단
피부통합성 장애와 관련된 통증
관련 자료
대상자는 중심정맥관 적용
대상자는 EVD로 뇌실 내의 혈액을 배액
대상자는 유치 도뇨 적용 중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객관적 자료
BT 37.8℃
WBC 수치 상승
ex) 18.9 x 10^3/μL
Neutrophil 상승 및 Lymphocyte 감소
Neutrophil 84.4% & Lymphocyte 10.5%
Glucose 수치 상승, CRP 수치 상승
참고자료
· ● 중환자간호, 김남영 외, 현문사, 2009
· ● 성인간호학Ⅱ, 김금순 외, 수문사, 2007
· ● 신경학, 윤병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출판문화원, 2005
· ● 뇌출혈 모델 흰쥐 뇌에서 신경세포 생성의 변화, 오일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 뇌실내 출혈을 일으킨 뇌동맥류와 뇌실 확장, 이충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 ● 기계적 환기요법을 시행받은 미숙아에서 고탄산혈증과 뇌실내 출혈의 발생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 킴스 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 ● 드럭 인포 http://www.druginfo.co.kr/
· ● 세브란스병원 http://sev.iseverance.co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