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사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맥루한의 생애
Ⅲ. 맥루한의 미디어론
1. 일반적인 미디어론
2. 이니스(Harold Innis)의 미디어론
3. 맥루한의 미디어론
Ⅳ. 맥루한 인류문명사
1. 인류문명사의 시대구분
2. 미디어의 변천에 의한 인류 문명사
Ⅴ. 맥루한의 주요개념
1. 모든 매체는 인간감각기관의 확장이다.
2. 매체는 곧 메시지다
3. 매체는 마사지다
4. hot미디어, cool미디어
5. TV에 대한 이해
Ⅵ. 맥루한의 사상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1. 맥루한에 대한 비판적 평가
2. 맥루한에 대한 긍정적 평가
Ⅶ. 맥루한의 이론에 비춰 본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1. 메시지를 위한 매체의 확대 - “그리스도가 곧 메시지이다”
2. 매체로서의 설교 - 예술로서의 설교, 상상력
3. 예배에 있어서 상징 사용의 재발견
4. 상징 매체로서의 성만찬 예전
5. T.V를 통한 설교 커뮤니케이션
Ⅷ. 나오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정보사회라고 지칭하는 데 있어서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산업 사회 이후 급격히 발달한 테크놀로지에 의해 전기 매체가 등장하면서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으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던 각 나라와 민족들은 전자매체를 통하여 동시에 함께 느끼고 함께 바라보게 되었다. 민족과 나라의 장벽이 무너져버린 것이다. 이렇게 엄청난 변화에 대해 그 영향력과 결과를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세계는 급격히 변화해 가고 있다. 이 모든 것이 다 우리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과학 기술의 산물인 ‘미디어’ 때문이며, 이제는 이 미디어를 통해서 나타나는 엄청난 결과들을 어쩔 수 없이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이 미디어들은 정치와 사회와 경제와 문화에 깊숙이 개입되어 있으며 이것들을 통하여 모든 개인의 생활이 통제되고 있다. 우리는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미디어에 잠식되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이전까지 미디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었다. 미디어가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도 몰랐다. 우리에게는 여전히 속의 내용만이 중요했고. 겉의 매체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캐나다의 영문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 이론가인 맥루한이 이에 대한 새롭고 충격적인 이론을 펼쳤다. 곧 “매체가 곧 메시지이다”라는 것이었다. 그는 메시지의 내용보다도 그 메시지를 담고 있는 매체자체의 영향력과 중요성을 밝혀냈다. 그의 사상이나 이론의 독창성이나 예언적인 시각들은 놀랄 만 하다.
이제 세계는 점점 전기 매체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그 영향력을 선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회는 여전히 매체보다는 메시지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매체 자체를 사탄의 도구처럼 바라보는 시각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를 가지고 21세기에 복음의 메시지를 전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참고 자료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박정규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이강수, 「현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제문제」, (서울: 범우사, 1993)
김우룡, 「커뮤니케이션 기본 이론」, 박정규역 (서울: 나남출판, 1995)
W.슈람 / W.E 포터, 「인간 커뮤니케이션」, 최윤희역 (서울: 나남출판, 1998)
삐에르 바뱅, 「종교커뮤니케이션의 새시대」, 유영난역 (서울: 분도출판사, 1993)
J. 다니엘 바우만, 「현대설교학입문」, 정장복역 (서울: 엠마오, 1983)
허버트 알철, 「현대언론사상사」, 양승목역 (서울: 나남출판, 1993)
맹용길, 「기독교윤리학개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윌버 슈람, 「커뮤니케이션 원론」, 최종수역 (서울: 전예원, 1984)
이영제, 「정보화사회와 기독교」, (서울: 도서출판 컴퓨터선교회, 1993)
박석규, 「맥루한의 생애와 커뮤니케이션론」, (서울: 삼성출판사, 1982)
로버트 웨버, 「그리스도교 커뮤니케이션」, 정장복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2)
Stephan Littlejohn, 김홍규 역, 「커뮤니케이션 이론」(서울:나남신서,1993)
체스터 패닝턴 / 마이론 차티어, 「말씀의 커뮤니케이션」, 정장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