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환기의 종류부터 시작해서 구체적으로 고압경보음이 울리는 경우와 그에 따른 간호 등 참고자료 4개를 읽어가면 꼼꼼히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기계환기의 정의 및 목적
2. 기계환기의 적응증
3. 기계환기의 구조 및 분류
4. 기계환기 설정
5. 기계환기 모드
6. 기계환기의 간호
7. 기계환기의 합병증
8. 인공호흡기 제거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 및 목적
정상적인 자발호흡이 이루어 지지 않을 시, 기계환기법을 통해 산소를 흡입시키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도록 인공적으로 고안된 기계를 이용하여 환기를 보조해주는 방법
*정상적인 자발호흡: 가로막과 갈비사이근의 수축으로 만들어지는 흉강 내 음압으로 흡기가 이루어지는 것
목적
① 폐 환기 유지
② 산소화 증진
③ 산소 소모량과 호흡근의 피로 감소: 폐와 기도의 치유 허용
④ WOB(work of breath)줄여 심근 부담 감소
적응증
적용 기준
1) Mechnical
① RR: >35/min
② 분당환기량(minute ventilation): >10L/min
③ 최대흡기압력(maximal inspiratory pressure): -20cmH20 보다 흡인압력이 약한 경우
④ 폐활량(vital capacity): <15ml/kg
⑤ Respiratory paradox(기이호흡)
2) gas exchange(호흡부전, 환기부전)
① Pa02: <60mmHg(Sp02<90%) on FiO2> 0.60
② PaCO2: >50mmHg(acute)
적응증
1) 환기가 부적절하여 아래의 기준에 한 개 혹은 둘 다 부합하는 경우
저산소성 호흡부전: FiO2>60%에서 Sa02<90% 일 때
고탄산성 호흡부전
-급성 고탄산성호흡부전: PaCO2>50mmHg&PH<7.30
-만성 고탄산성호흡부전: 동맹혈가스분석과 임상증상으로 판단
2) 자발호흡으로 유지가 안 될 정도로 호흡일이 증가하는 경우 혹은 임상적으로 불안한 환자
뇌내압이 증가된 경우 과호흡을 유도하여 뇌혈류량 감소
수술 후 폐동맥고혈압 대상자의 혈역학 개선
울혈성심부전 대상자의 호흡부담감 감소
위세척 시 위 내용물의 흡입을 예방
진단적, 치료적 과정에서 호흡부전의 위험성이 있을 때
대수술, 외상
신경근육 질환
급성호흡부전: ARDS, Heart Failure, pneumonia, sepsis
무의식: 무호흡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