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질병기술
1. 질환명
2. 정의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및 징후
6. 진단
7. 치료
8. 간호
Ⅲ. 임상소견
1. 임상검사
2. 방사선 검사
3. 핵의학 검사
4. 심전도 검사나 내시경 검사등 특수 목적을 위한 검사
Ⅳ. 약물요법
Ⅴ. 특수 치료 및 검사
Ⅵ. 간호과정
1.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뇌조직관류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1. 질환명 : 지주막하 출혈(SAH; Subarachnoid hemorrhage) : 뇌 동맥류
2. 정의
지주막하출혈은 뇌 표면의 동맥이 손상되어 발생하며, 뇌졸중의 일종으로 뇌를 손상시킬 수 있다.
지주막하 출혈로 인한 혈액은 뇌와 두개골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들어가 뇌 척수액과 혼합된다. 이로 인해 뇌 주위의 압력이 증가하고 뇌압 상승으로 인해 뇌의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며, 30~60세에 흔하고 절정기는 50대이다.
- 지주막하(거미막하) 출혈 : 지주막하 공간에 생기는 출혈
- 뇌동맥류 : 뇌의 동맥이 주머니처럼 늘어나거나 확장된 것
* 뇌동맥류의 형태 : 낭상형, 방추형(흔함)
- 낭상 동맥류 : 대부분 윌리스 환의 대 혈관 분지 부위에 발생
- 방추형 동맥류 : 더 큰 동맥인 기저동맥, 경동맥에 발생, 쉽게 파열되지 않음.
3. 원인
1) 외상성 출혈
- 두개 외상 : 뇌손상으로 인한 뇌막 혈관의 파열도 원인이다.
2) 자발성 출혈
① 뇌동맥류의 파열
- 두개 내 동맥류 : 선천성, 외상성, 동맥경화성 변화로 발생 ( 90%가 선천적, 80%는 윌리스 환에 생긴다. )
- 동맥류 파열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동맥류 주변 혈관의 퇴행성 변화, 고혈압, 혈액 순환의 압력으로 인한 스트레스(특히 분지부위) 때문으로 보인다.
- 윌리스 환(뇌동맥고리)에 생긴 동맥류의 파열이나 균열로 일어나는데, 45세 이하 뇌혈관 질환 사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윌리스 환은 뇌의 기저에서 전, 중, 후 뇌동맥과 2개의 교통동맥으로 이루어져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자료
· Linda Lane Lilley 외(2015),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 김금순 외(2016). 여덟째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153-1227.
·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432-510
· 송미순 외(2001). 개정판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