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환자사정
1. 일반적 사항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3. 신체사정
4. 임상병리검사
5. X-ray 및 특수검사
6. 낙상 사정
7. 물리치료기록지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와 원인
3. 진행단계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substantia nigra)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며 안정 떨림, 경직, 운동완만(운동느림)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나이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평균적으로 발병하는 나이는 60대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과 발생률이 증가한다.
2. 병태생리와 원인
도파민은 뇌의 신경세포에서 만들어지는 물질로 세포와 세포 간에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다. 도파민이 저하되면 수의적인 섬세한 움직임, 자발적 행동을 시작하거나 통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피라밋외로계의 손상으로 조화로운 움직임과 반사적 운동을 조절하는 기능이 영향을 받는다. 파킨슨병은 중간뇌의 흑색질부위에서 도파민 세포사멸로 인해 선조체에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공급이 감소하여 발병한다. 우리 몸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바닥핵에 도파민이 작용하여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해지는데 도파민의 수치가 50~70%가 감소하면 증상이 나타난다.
3. 진행단계
1) Stage 1
파킨슨병 초기 단계에서 증상은 전형적으로 심각하지 않다. 한 사람이 최소한의 문제점들로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어 1 단계의 징후와 증상 중 많은 부분을 놓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 자세, 얼굴 표정, 걷기, 신체의 한 쪽에서 경미한 떨림
2) Stage 2
떨림, 흔들림, 뻣뻣함은 병기 2 기에서 신체의 양쪽에 영향을 미친다. 심해진 뻣뻣함은 종종 작업을 지연시킨다. 걷기, 말하기 및 자세의 문제는 종종 파킨슨병 단계 2에서 더 두드러진다.
3) Stage 3
3 기 또는 중기 파킨슨병은 증상들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2 단계의 대부분 또는 모든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3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 균형 문제, 느린 동작, 느린 반사 신경
참고자료
· 은 영 외 7명(2019).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통증간호. 병원간호사회.11호
· 이은옥 외 6명(2003).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504-514
· 황옥남 외 8명(2018) .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7판. 477-485
· 유명희 (1991) 파킨슨병환자의 간호사례.대한간호1-5
· 최순희 외 3명(2003). 표준화된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분류.정문각. 66-74
· 송경애 외 (2016).최신 기본간호학Ⅱ. 241-245
· 서울대학교병원간호실무지침
·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 MMSE-K <출처> 박종한, 권용철(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연구.신경정신의학 제 28권 제3호. 508-513
· ADL <출처> Mahoney,F.L., Barthel, D.W.: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dState Med J 14(2), 61-65, (196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