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상자 선정 의의
2. 문헌고찰
3. 약물조사
4. 간호과정
5.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본문내용
1. 대상자 선정 의의
병동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질병은 우울증이었다. 주변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질병이기에 대상자를 선정할 때에 우울증을 가진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사고 때문에 입원을 한 대상자였다. 고3 때, 우울증을 심하게 앓던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를 이해 못해줬던 것이 계속 후회가 되기도 하고 미안한 것이 남아있다. 그 때의 내가 했던 실수가 앞으로 내가 살아가면서 하지 않도록 더 집중적으로 공부해보고 싶어서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실습을 하면서 대상자를 더 깊게 이해해보고 질병에 대한 공부를 더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2. 문헌고찰
1) 우울증의 개념
우울한 기분은 일상 속에서 종종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증은 일시적으로 기분만 저하된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의 내용, 사고의 과정,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우울장애는 시대, 사회, 민족에 상관없이 비슷한 정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많다. 우울증은 단순한 기분전환이 아닌 전문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
<중 략>
간호과정
간호문제 #1. 상실에 대한 비효율적인 적응과 관련된 만성적 자존감 저하
간호사정
Subjective data (S)
“엄마가 너무 보고 싶어요. 엄마도 없는데 살아서 뭐해요. 그냥 저 죽게 냅둬요.”
“제 단점은 장점이 없는게 단점이에요.”
“친구들이랑 말할 때 저 때문에 분위기가 무거워 지는 게 싫어요.”
Objective data (O)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과도한 죄책감.
-질문에 대해 대부분 단답식으로 답함.
-다른 환자들과 잘 대화하지 않음.
-병동 내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음.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서 핸드폰하면서 지냄.
-자살 시도 2회
간호진단
Problem
-자존감 저하
Etiology
-상실에 대한 비효율적인 대처기전
Sign & Symptom
객관적 자료와 주관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대상자는 상실에 대한 애도를 건설적으로 표현하지 않음. 본인 스스로도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