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근 화력 발전설비나 구조물 시설은 고도화, 집약화 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제어되고 있고, 이를 생산시스템이나 설비를 안전함과 동시에 효율 좋게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시스템,설비 또는 그들을 구성하는 기계,부품의 건전성(integrity)를 정량적 비파괴적인 진단 및 검사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
(2)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ing, NDT)는 소재, 기기, 구조물의 품질관리나 품질보증의 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계측기법으로 재료, 제품, 구조물 등의 종류에 거의 상관없이 시험대상물의 손상, 분리, 파괴시키지 않고 원형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험체의 표면이나 내부의 결함유무와 그 상태 또는 대상물의 성질, 내부 구조 등을 조사하는 검사를 말하며, 국내에서는 현재까지도 화력 발전설비나 석유 화학 플랜트 등에서는 구조물의 안전 설계 및 용접부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파괴검사 기법의 하나인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ing, RT)을 주로 적용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있음
(3) 최근 방사성투과검사(RT)를 대체할 수 있는 초음파탐상검사(Ultrasonic Testing, UT) 기법 중에서 최신 위상배열 초음파탐상검사(Phased Array Ultrasonic Testing, PAUT)나 비행회절시간초음파탐상검사(Time of Flight Diffraction, TOFD)기술의 도입 및 활용이 가장 효율적인 해결방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이를 위한 기반조성이 필요함.
(4) 국내 비파괴검사는 방사선투과검사(RT)에 대부분 의존(약 50% 내외)하나, 원자력안전법의 안전규제 강화에 따라 향후 활용에 제한(고준위 방사선피폭으로 작업자 3명이 사망함에 따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극히 제한된 조건에서만 RT가 가능하도록 관련법이 개정됨(’13. 8월 및 12월)
(5) 최근 방사선 안전관리 강화로 인해 인구밀집 지역 열배관공사시방사선투과검사의 어려움 발생되고 있음
참고자료
· 강병권, 임익성, 구일섭 (2016). 위상배열 초음파 탐지검사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신뢰성응용연구, 16(4), 338-346.
· 배시연, 정찬서, 임병수 (2003). 위상배열 초음파를 이용한 내부 균열 및 미세 결함 검사. 한국자동차 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1499-1503.
· 윤병식, 이희종, Dominique Braconnier (2012). 횡파 위상배열 초음파 탐촉자 설계 및 성능 평가. 비파 괴검사학회지, 32(2), 185-191
· 조 용 상 책임연구원 /위상배열 초음파센서 최신 개발 동향 / 한전전력연구원 청정발전연구소
· 신현재 외 6명, 원자력 발전 설비의 안전진단을 위한 위상배열 초음파 탐상기술 개발, (주)인디시스템 부설연구소, 과학 기술부, 2006
· 조갑호, 용접부 위상배열 초음파탐상검사, (주)고려공업검사,2016
· http://safetydia.mireene.co.kr/board/bbs/board.php?bo_table=machine_1&wr_id=3&page=
· http://www.bercli.net
· http://www.ndtland.co.kr/bbs/board.php?bo_table=43&wr_id=2
· http://www,kmico.net
· http://blog.naver.com/treat777/70026023390
· http://blog.naver.com/iwtxo89/221017837349
·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8C%8C%EA%B4%B4_%EA%B2%80%EC%82%AC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