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진통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론적 근거까지 작성되어 있습니다.
목차
1.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객관적 자료
2. 간호목적/기대되는 결과(간호목표)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결과 및 이론적 근거
5. 평가
본문내용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객관적 자료
<자궁수축 중재와 관련된 수면패턴장애>
- 주관적 자료
1. “새벽에 먹는 약 그냥 아침에 주면 안되나요?”
2. “지금 자려고 하는데 좀 있다가 혈압 재주세요.”
3. “밤에 거의 1~2시간 밖에 못자서 낮잠을 많이 자게 되네요.”
4. “낮잠 포함 하루에 4시간 정도 자는 것 같아요.”
5. “배가 자주 뭉쳐서 편하게 잠들기가 불편해요.”
-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 PTL(Preterm Labor)
2. 자궁수축 시간간격
07:37 1~2회/40min 불규칙
11:48 2회/48min 불규칙
16:00 불규칙
3. Adalat 복용 10pm, 4am, 10am, 4PM
4. Adalat 투여 직전 V/S 확인, 투여 후 15분ㆍ30분ㆍ이후 4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V/S 확인
5. 낮에 안대와 이어폰을 착용하고 낮잠을 자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관찰함
간호목적/기대되는 결과(간호목표)
- 간호목적
: 대상자는 수면장애 완화로 정상적인 임신유지를 할 수 있다.
-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는 수면장애의 원인에 대해 이해한다.
2. 대상자는 숙면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3. 대상자는 숙면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2가지 이상 스스로 시행할 수 있다.
4. 대상자는 밤 수면 또는 total 수면을 6시간 이상 잤다고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간호수행/결과 및 이론적 근거
이론적 근거
통증은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의 분비를 자극하고, 이는 신진대사율을 증가시켜 활력징후를 변화시킨다. 통증은 흉벽의 움직임을 방해하기 때문에 호흡수와 호흡리듬을 변화시킬 수 있다.
2. 수면 양상(수면의 양과 질)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과거의 수면양상과 현재의 변화된 수면양상을 사정하여 수면의 질이 과거와 비교하여 얼마나 변하였는지를 사정하고, 현재의 수면양상에 문제를 사정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