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신라의 성립
①건국 신화와 그 의미
②진한 소국의 복속
③소국 병합의 결과
2.신라의 융성기
①내물왕
②지증왕
③법흥왕
④진흥왕
3.삼국의 통일과정
①7세기 국제전의 전제 조건
②고구려와 백제의 멸망
③신라의 통일
4.삼국통일의 의의
Ⅲ.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우리 고대의 조상들은 고조선 계통의 한족(韓族)과 부여, 고구려 계통의 예맥(濊貊)족이 근간을 이루었다. 이들은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 등을 형성했는데, 중국세력과의 갈등관계 속에서 이들 중 선발주자인 고조선은 먼저 멸망당하는 비운을 맞기도 했다. 그러나 한반도는 곧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뒤이은 신라와 가야의 체제로 재편되었다. 그 중 백제와 신라, 가야는 마한 세력이 백제로, 진한 세력이 신라로, 변한 세력이 가야로 재편성된 것이었다.
이어 경쟁을 통해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정립(鼎立)하는 체제를 이루었다. 삼국은 서로간에 오랜 전쟁을 겪으며 수와 당 나아가 왜가 개입하는 국제적인 대결구도 속에서 결국 신라의 통일과 뒤이은 발해의 성립으로 남북국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여기서는 신라의 역사를 삼국이 통일되어 통일 신라가 성립하기 전까지 살펴보기로 한다.
Ⅱ.본론
1.신라의 성립
① 건국 신화와 그 의미
신라는 3성의 시조신화를 가지고 있는데 이 내용을 잠시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박혁거세 신화
옛날 진한(辰韓) 땅에 여섯 마을이 있었는데, 어느날 고허촌(高墟村) 촌장 소벌공(蘇伐公)이, 양산 밑의 나정(蘿井)이라는 우물 곁에서 흰 말이 무릎을 꿇고 우는 것을 이상히 여겨 가 보았더니, 말은 간 곳 없고 불그스럼한 알이 하나 있었다. 깨 보니 아기가 있어 소벌공이 데려가 정성껏 길렀다. 이 아기는 점점 준수하여져 나이 열세 살에 뛰어난 젊은이가 되었다.
참고 자료
강만길 외,「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1」,『한국사 3』, 한길사, 1994.
김기흥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 비평사, 2000.
김부식(이강래 옮김), 『삼국사기Ⅰ』, 한길사, 1998.
이기동,「한국의 정치와 사회Ⅲ -신라와 가야」,『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97.
이종욱,『신라의 역사』,김영사, 2002.
김영하,「삼국시대 왕의 통치형태 연구」, 고구려 박사 학위 논문, 1988
박경철, 「고구려 군사 역량의 재검토」,『백산화보』35, 백산학회, 1988.
노태돈, 「고구려의 한수유역 상실의 원인에 대하여」,『한국사 연구 13』, 한국사 연구회, 1976.
변태섭, 「단양 진흥척경비의 건립연대와 성격」,『사학지』12, 단국대 사학회, 1978.
최병헌,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1992.
노중국,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동방학지』49, 연세대 국학연구원, 1985.
일연 (이동환 옮김), 『삼국유사』, 도서출판 장락,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