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발달이론 중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에 대해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2.24
- 최종 저작일
- 2020.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건강가정론
주제:
1)가족발달이론 중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에 대해 기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2) 외국의 우수건강가족 정책 사례
3. 결론
1) 적용점 및 시사점
2) 느낀 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인 개체성 및 반개체성, 즉 개인으로의 ‘나’와의 관계로서의 ‘나’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상호작용하는 생활공동체적인 집단이고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되며 정서적 단위이고, 보편성 및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가족이다. 또한 가족은 사회의 영향을 받기만 하는 집단이라기보다 사회의 영향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고 적용, 변화하는 집단인 것이다. 현대의 가족들은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 즉 개인성과 공동체성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적인 체계로 가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즉, 가족은 개별성과 공동체성을 존중하며 상호간의 심리적 자원이 되어 주는 상호작용적인 관계들의 집단을 뜻하는 것이다. 이렇게 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일차적인 집단이 되는 가족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를 보면 가족들이 그 기능을 점차적으로 상실해가며, 오히려 가정이 무너지는 것을 많이 볼 수가 있다. 하지만, 가정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처음 만나는 공동체인 만큼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가족은 건강한 가족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본론에서는, 가족과 관련된 이론 한 가지와, 이미 외국에서 있었던 건강한 가족정책의 사례를 살펴보며, 적용점 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건강가정론, 문혁준, 창지사, 2015
가족복지론, 김혜경 외, 공동체,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