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극찬하신 케이스 자료 입니다.
간호진단은 총 2개이고 각 간호과정은 5개씩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의 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요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합병증
7. 치료와 간호
8. 퇴원계획
Ⅳ. 사례보고
Ⅴ. 약물
Ⅵ. 진단검사
Ⅶ. 간호과정
Ⅷ. 결과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변화, 생활 습관의 서구화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현재 연간 총 사망자의 19%인 인구 10만 명 당 43.3명과 56.5명으로 각각 사망원인의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사망원인의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에서도 STEMI(ST 분절 상승 심근경색)는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한다. 이러한 심근경색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적인 특성과 임상적 위험요소와 또 그에 따른 진단과 치료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전문서적과 참고서, 인터넷 등을 통해 문헌고찰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환자의 정확한 정보를 위해 환자 차트와 간호 기록지, EMR, order지, lab sheet와 대상자 관찰 및 면담을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간호진단과 그에 따른 간호계획을 세우고 평가를 실행하였다.
<중 략>
#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사정
주관적 사정
1. 환자가 “가슴이 넌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실 수 있어요?” 라고함.
객관적 사정
- EKG상 STEMI로 진단됨.
- 01월 11일 NRS 5점으로 측정됨.
- 현재 가슴통증 호소
- Troponin 0.12ng/mL높은 수치를 확인함.
- CK-MB 7.22ng/mL로 높은 수치를 확인함.
- Chest pain을 호소하며 응급실 경유하여 입원
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2시간 안에 통증이 완화(NRS 2점 이하)되었다고 말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참고자료
·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 Joanne C. McCloskey(1998),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 http://blog.naver.com/dronu/60201447254
· 약물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 약물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 성인간호학(상)/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7명 저/2016/ 현문사
· 간호진단,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송미령,류은정 외 3명/2015/ 현문사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 부산동아대학병원 EM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