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치과정과 시민운동
- 최초 등록일
- 2020.02.20
- 최종 저작일
- 2020.0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국의 정치과정과 시민운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민운동의 정의
2. 시민운동 발생 원인에 대한 이론
1) 신 사회운동론
2) 자원동원론
3) 정치과정론
3. 시민운동의 변화
Ⅲ. 결 론
본문내용
민주주의로의 이행 과정에서 비정부조직(NGO)이 대거 등장한 이래, 한국의 시민사회는 민주주의의 공고화 과정에서 정치사회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특히 한국 시민사회는 2000년 4월 총선거 당시 전개한 낙천․낙선 운동을 계기로 일대 도약기를 맞이하였으며, 촛불시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에 중요한 정치행위자로 등장했다.
이처럼 시민운동은 정치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막스 베버의 말에 따르면 정치는 "국가의 운영 또는 이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다. 국가를 운영하는 데 있어 정부는 여러 단체 간의 이해관계를 수용하고, 정책을 펼쳐나가야 한다. 하지만 모든 이해관계를 만족시킨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고, 이로 인해 불만은 생길 수밖에 없다. 공식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시민들은 시민운동을 매개체로 삼아, 정치에 대한 자신들의 불만을 합법적으로 표출한다.
우리나라에서 시민운동이 가장 많이 발생했던 때는 1980년대이다.
참고 자료
강인순.「창원지역 시민운동의 대두와 조직화; ‘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Journal of Human Studies, Vol 27』(2011)
김성국.「사회 운동론 : 신사회운동의 이론적 기반」
박상필.「시민운동 측정모형의 개발」,『한국비영리연구』제12권 제1호 (2013)
박상현.「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권위주의 체제전환의 특징과 민주주의 공고화의 관계’」(2002)
박지성.「민주화 이후 한국 시민운동의 구조와 특성」 (2013)
서명구.「한국 정치의 민주화 과정에 관한 연구 - 6공화국의 공론 정치와 담론 분석」(2005)
오용호,「한국 시민운동의 변화와 성격에 관한 연구」(2012)
윤모린.「한국 민주화 과정에서 운동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987년 국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2000정주신,「6월 항쟁의 정치사적 특징」.
입법조사처.「국정감사 및 조사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국회 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108호 (2010)
정상호.「6월 항쟁과 시민사회운동」,『내일을 여는 역사』 제28권 (2007)
주성수.「한국 시민사회지표 2008-2010: 참여, 조직, 가치, 영향, 환경」,『시민사회와 NGO』제8권 제1호 (2010)
정주신.「6월 항쟁의 정치사적 특징」(2004)
최장집.「혁신과 정의의 나라 포럼' 기조연설」(2013)
노컷뉴스. ‘88개 시민사회단체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촛불 규탄',
한겨레. '파리 이어 런던에서도…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촛불집회',
조선일보. ‘경찰, 사진에 빨간 점 찍으며 머릿수 셌다는데...’
Marx Weber. 「직업으로서의 정치」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