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중독에 대한 현황과 그 문제점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게임중독은 본인 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는데
- 최초 등록일
- 2020.02.14
- 최종 저작일
- 2020.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주제: 게임중독에 대한 현황과 그 문제점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게임중독은 본인 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에 대한 현 시점을 고찰해보고, 그 문제점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조사하는 것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게임중독 현황
2. 게임중독의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WHO가 게임 중독을 알코올이나 마약, 담배 중독과 같은 질병으로 분류하는 제11차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을 의결하여 사회적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그만큼 게임 문화는 보편화되어 있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만 10세에서 65세 사이의 일반인 중 약 67.2%가 게임을 이용한 것으로 조사되었을 정도이며 전 세계 게임 산업의 규모는 연매출 약 14조원 대에 이른다.
그러나 그만큼 게임 중독으로 사회적, 경제적, 신체적 문제를 겪게 되는 비율 또한 늘어나고 있다. 게임 중독이란 다른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하여 부정적 결과를 겪게 되더라도 게임을 지속하는 행위로서 WHO 기준에 따르면 게임에 대한 통제 기능 손상과 삶의 다른 관심사,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함, 부정적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게임 중단 불가 등의 현상이 12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2000년대 중반부터 게임도 정신질환으로 보아야 한다는 시각이 제기되어 왔으며 2014년부터 WHO를 통한 논의 역시 지속되어 왔다. 2011년에는 게임에 중독된 뇌는 마약에 중독된 뇌처럼 변한다는 내용의 연구 논문이 실리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본인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는 게임중독에 대한 현황과 그 문제점들을 고찰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게임중독 현황
게임중독이란 단순히 게임을 좋아하거나 많이 하는 사람이 아니라, 다른 중독 질환과 마찬가지로 게임 외의 일상생활이 어려운 병리적 양상을 보이는 환자를 지칭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 자료
서진우. "게임중독, 마약처럼 뇌 망가뜨려 치료필요". 매일경제. 2019.5.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게임과몰입 종합 실태조사. KOCCA. 2019.2.7.
이기봉. 청소년 온라인게임중독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리포트. 201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