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작품의 줄거리
②제목의 뜻
③소설의 서사구조 분석
④작품 속의 인물 분석
⑤동생과 형의 아픔은 무엇인가
⑥작품의 시점 분석
본문내용
1.작가 이청준의 소개 및 작품 경향
이청준(李淸俊: 1939~)
소설가이며, 전남 장흥 출생함. 1965년 단편 '퇴원(退院)'이 <사상계> 신인상에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함.
그의 작품 경향은 주로 생활과 예술, 혹은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과 고민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 형식은 액자 소설이라 불리는 기법을 쓰고 있으며 관념적인 작가라는 평을 듣기도 하나 진실을 추구하는 데 집요한 작가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청준 소설 세계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성이다. 주제와 소재뿐만 아니라 소설적 방법도 다양하다. 그는 신발 가게에 진열된 신발처럼 문학도 다양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 그 이유는 '사람들은 각기 그 나름의 다른 모습과 크기의 정신으로 살아가며, 그들은 각기 자신에게 알맞은 자기 정신과 삶의 신발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다음의 특징은 그의 작품이 개인과 세계의 대결이라는 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세계는 모순과 부조리로 가득한 사회학적인 세계가 아니라, 독특한 관습과 기묘한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왜곡된 세계이며, 구로 인해서 그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의 진실과 꿈이 훼손당하는 세계이다. 그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세계 속의 타성화 된 관습과 맹목적인 소문의 실체가 무엇이며, 그것 때문에 짓눌림 당하는 개인의 꿈과 진실이 무엇인가를 밝혀보는 것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별을 보여 드립니다', '매잡이', '소문의 벽', '침몰선', '조율사', '이어도' '잔인한 도시' 등이 있다.
2. 60년대 전후 소설 경향
6․25 전쟁과 전쟁 직후의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전후 소설'들에는 선우휘의 <불꽃>, 박경리의 <불신시대>, 손창섭의 <비오는 날>, <잉여인간>, 송병수의 <쑈리킴>, 이범선의 <오발탄>, 오상원의 <유예>, 안수길의 <제3 인간형>, 황순원의 <학>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대체로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하고 있는데, 하나는 인본주의(인간주의; 휴머니즘)에 입각해서 '전쟁의 비극성과 비인간성'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쟁 직후의 타락한 사회상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작품들은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를 띠며,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 역시 다소간 비정상적인 측면들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