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니봐주셔영,,미술교육과정에 대해서 상세히나와있습니다.많이 참고되실꺼애요,
7차와 6차 교육과정도 비교해놓았습니다
목차
1.미술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2. 미술과 교육 과정의 변천
가. 교육 과정 이전의 미술 교육
나. 제 1차 교육 과정의 시기(1954∼1963)
(1) 구성 체제
(2) 중학교 미술과의 일반 목표
(3) 중학교 미술과의 목표
(4) 다. 제2차 교육 과정의 시기(1963∼1973)
각 학년의 미술과 지도 내용
(1) 구성 체제
목표, 학년 목표, 지도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목 표
(3) 내 용
(4) 지도상의 유의점
라. 제 3차 교육 과정의 시기(1973∼1981)
(1) 구성 체제
목표는 일반 목표와 학년 목표를 구분하고,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2) 일반 목표
(3) 내 용
마. 제 4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1∼1987)
바. 제 5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7∼1992)
사. 제 6차 교육 과정의 시기(1992∼1997)
3. 미술과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4. 미술과의 성격과 특성
5. 미술과 목표
6. 미술과의 내용
7. 미술과의 교수·학습 방법
8. 미술과의 평가
9.미술과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본문내용
1. 미술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미술과 교육 과정은 미술과 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이며, 또 이를 효율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이고, 교수·학습의 결과는 어떻게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등을 설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 과정에 무엇이 담겨 있고, 또 어떻게 운영되고 평가되는가는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제 7차 교육 과정 총론이 개정됨에 따라 그 기본 방향에 맞추어 미술과 교육 과정을 개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미술과 교육의 새로운 변화, 사회 여건의 변화, 교육 이론의 발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현장에서의 의견 등은 미술과 교육 과정이 주기적인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먼저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유성하고자 하는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대처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9. 미술과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가. 구성 체제
제 6차 교육 과정에서는 초, 중, 고등 학교별 미술과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체제로 구서하였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을 설정하고 있어 그 기간 동안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과의 전반적인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체제로 구성하였다.
나. 성격
제 6차 교육 과정에서는 중학교의 미술과 성격으로 미술에 대한 정의, 미술과 교육의 목적과 특성, 내용 구성, 구체적인 세부 목표 등을 제시하고 있다.
제 6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술과의 성격과 그 방향을 같이하면,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인 10년간(초등 학교 1, 2학년은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 교과로 지도)
참고 자료
교육부, 중학교 미술과 교육 과정 해설,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서울. 1994., 미술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1997-15호〔별책 13〕,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서울, 1997.
김정호, 윤현진, 황혜정, 이선경, 박소영,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 1998.
문교부, 초․중․고등 학교 교육 과정 : 미술과, 문교부, 1986.
박소영, 미술과 수행 평가, 1998.
백순근 편, 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서울, pp. 533~585
박소영․양윤정․조윤숙, 제 7차 미술 교육 과정 개발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1997.
박소영․양윤정․김은진․홍후조, 미술 I-국가 공통 절대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1997.
Lowenfeld. V., Creative and mental growth, NY: The Macmilan Company, 1997.
Michel, J. A., Art and adolescence: Teaching ast at the secondary level, NY : Th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83.
Read, H., Education through art, NY : Pantheon Books, 1956.
Wilson, B. G., Evaluation of learning in art education, In B. S Bloom, J. T. Hastings, & G. F. Madaus(Eds), Handbook on Formatiove and Summative Evalution of Student Learning, NY: McGraw-Hill, pp. 499~558. 197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미술과 교수-학습계획안 15페이지
- 나의 미술 교육론 3페이지
- 아동화 표현발달연구 3페이지
- 나의 미술 교육관 3페이지
- [미술교육]아동의 미술표현 발달단계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