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민속놀이의 개념과 성격
2. 민속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
1) 투호
2) 굴렁쇠굴리기
3) 제기차기
4) 널뛰기
5) 태권도
6) 씨름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및 자료처리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 구성
2. 민속놀이 교육과정 이해
3. 민속놀이 지도실태
4. 민속놀이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점
V. 결론 및 제언
VI. 참고 문헌
본문내용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따른 생활환경의 변화로 말미암아 아이들의 놀이 문화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과거 여러 명이 모여서 하는 단체 놀이에서 벗어나, 현대 아동들에게는 컴퓨터 또는 다른 오락기기를 이용한 개인적 놀이의 활용이 보편화되었으며, 그 결과 이전부터 전래되어 내려오던 민속놀이가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최근 민속놀이 혹은 전통 놀이에 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 결과의 하나로서 제 7차 교육과정 체육교과에서는 민속놀이가 기존의 교육과정 때보다는 많은 수업시간과 내용을 할당받을 수 있게 되었다.
민속놀이는 문화 유산으로 가꾸어 나아가 주체성을 기른다는 뜻에서 민속놀이 수업은 현장에서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민속놀이의 지도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민속놀이의 현장적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음을 밝혀 둔다.
1) 본 연구에서 민속놀이 지도내용은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체육교과로 한정하였다.
2) 본 연구 결과는 제주도내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제한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3) 본 연구 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것이어서 연구결과의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1. 한상술. 국민학교 교사의 민속놀이관과 민속놀이의 지도실태에 관한 분석. 수원대학교, 1993
1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체육 3, 4, 5, 6학년’, 2001.
2.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3, 4, 5, 6학년’, 2001
3. 최상숙, 한국민속놀이의 연구, 성문사, 1988.
4. 김광언, 민속놀이, 대원사, 1989.
5.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 아카데미, 1994.
6. 임동권 외 2인, 민속론, 집문당, 1989.
7. 오장현 외 2인, 민속놀이 지도자료, 대광문화사, 1987.
8. 박주홍, 한국민속학개론, 형설출판사, 1983.
9. 최상수, 한국민속놀이의 연구, 성문각, 1986.
10. 이윤구, 명절쇠기활동, 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11. 김종만,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우리교육, 1993.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