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모아 퇴비를 만들어 사용했다. 환경측면에서 최선인가 폐기물관리의 우선순위와 연관지어
- 최초 등록일
- 2020.01.29
- 최종 저작일
- 2020.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환경과 인간
주제: 집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모아 퇴비를 만들어 사용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부의 폐기물 관리 목표와 내용
1) 폐기물 관리 목표
2) 폐기물 관리 주요 내용
2.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에 입각한 사례 분석 서술
1)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 정책
2)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에 입각한 사례 분석 서술
Ⅲ. 결론
본문내용
‘폐기물’의 사전적 정의는 폐기물 관리법에 의해 쓰레기, 연소재, 오니, 폐산 등으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 활동에 필요하지 않게 된 물질을 의미한다. 폐기물은 생활, 사업에 있어 필요하지 않게 된 물질을 의미하며 발생원, 특성,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2018년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에 의한 폐기물 발생현황 추이에 따르면, 17년도 총 폐기물 발생량은 1일 414,626톤으로, 전년 대비하여 약 0.17%가 감소추세이다. 17년도의 폐기물 구성비의 경우 건설폐기물 47.3%, 사업장배출시설 폐기물이 39.8%, 생활계폐기물이 12.9%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부터 고도 경제 성장 영향으로 인해 생활 폐기물이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며 사회적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1991년의 경우에는 하루 9만 톤 이상의 생활폐기물이 증가하기도 했다. 좁은 국토 대비 생활폐기물의 엄청난 양을 처리하는 데에 있어 정부의 고민은 커질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1995년에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억제하기 위해 쓰레기 종량제 제도를 도입했다. 쓰레기 종량제를 도입하고 나서부터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대폭적으로 감량화될 수 있었고, 이후의 재활용, 분리수거 제도가 안정화되면서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있어 폐기물 발생량의 최소화 기틀이 완성될 수 있었다.
하지만 전 세계적인 환경 문제로 인해 여전히 폐기물 관리는 국내 사회 정책과 제도 전반의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폐기물은 기본적으로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플라스틱 등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매립공간의 부족 등으로 인해 폐기물 관리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폐기물 최소화, 자원화, 관리체계의 개선 등을 통해 자원 순환형 경제사회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폐기물 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중에서도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은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통합폐기물관리 시스템을 완성시키고 있다.
참고 자료
안승구 저, 최신 환경 화학, 동화기술교역, 2001.08.10.
김성수, 폐기물 발생 및 관리 정책, 환경부 생활폐기물 과장, 보고서
김정호 저, 환경학개론, 문지사, 1997.07.05.
연합뉴스, [르포] 쓰레기 재활용률…우리나라 40% vs 일본 80%, 201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