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열심히 했습니다.
목차
1. 고려가요의 개념
2. 전승
3. 특징
4. 속요의 형식적 특성
5. 속요의 내용적 특성
6. 속요의 양면성
7. 민요적 맥락에서 바라본 고려속요
8. 작품강독
1) 서경별곡(西京別曲)
2) 가시리
3) 정석가(鄭石歌)
4) 이상곡(履霜曲)
5) 정과정(鄭瓜亭)
6)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7) 쌍화점(雙化店)
8) 사모곡(思母曲)
9) 상저가(相杵歌)
10) 처용가(處容歌)
11) 청산별곡(靑山別曲)
12) 동동(動動)
13) 정읍사(井邑詞)
14) 유구곡(維鳩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고려가요의 개념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詩歌)로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줄여서 麗謠), 또는 고려장가
(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반면,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鄕歌)라고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 중국계(中國系)의 악부(樂府)니 악장(樂章)이니 하는 정악(正樂) 또는 아악(雅樂)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악(俗樂) 또는 향악(鄕樂)의 노래 이름을‘별곡’이라는 말을 붙여졌기 때문이다.
2. 전승
1)전승
고려속요는 개인에 의해 편찬된 가요집이 현재 전하는 것이 없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음악을 정리하면서 예전의 악보나 가사집을 참고하여 고려사악보를 만들었고, 향찰로 적혀 있었을 노랫말을 훈민정음으로 옮겨 놓음으로써 오늘날의『악장가사』,『시용학악보』,『악학궤범』에 실린 고려가요를 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고려속요의 노랫말이 조선에 들어와 악장으로 불리는 것은 고려에서 널리 불린 것 가운데 조선조 문인 학자의 안목을 거쳐 선발되었으므로 일단 문학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참고 자료
·국어국문학회 편, 『高麗歌謠硏究』, 정음사, 1979.
·권두환 편, 『한국문학총서1 -고전시가-』, 해냄, 1997.
·김대행 편, 『高麗歌謠의 情緖』, 개문사, 1985.
·김대행, 『노래와 시의 세계』, 역락, 1999.
·김명준,『고려속요집성』,다운샘, 2002.
·김영,『우리고전시가 한마당』, 혜문서관, 1994.
·박광정,『재미있게 풀어 쓴 고전시가 문학』,좋은날, 1999.
·박노준,「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박노준,『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5.
·신동욱 편, 『高麗時代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윤영옥, 『韓國의 古詩歌』, 문창사, 1995.
·전큐태,「서경별곡」,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정병욱,『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1996.
·최미정,「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최용수,「고려가요 연구, 최용수」, 계명문화사, 1993.
·최철,『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