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lensky와 Lebeaux의 보편주의 원리와 선별주의 원리가 갖는 각각의 사회복지 실천을 우리사회에 적용할 때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적성해 주세요 ]
- 최초 등록일
- 2020.01.21
- 최종 저작일
- 2020.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2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서론
2. 본론
1) 복지에 대한 보편주의 원리와 선별주의 원리
(1) 보편주의 원리
(2) 선별주의 원리
2) 보편주의 원리와 선별주의 원리의 사회복지적 실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심화되는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논의는 비단 최근의 일이 아니다. 개인의 노력보다는 사회구조에 의해 개인의 위치가 결정된다는 흙수저 논쟁, 계속해서 고공행진하는 수도권의 집값으로 인한 주거 빈곤 등은 한국사회의 빈부격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한편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모순 속에서 희생되는 개인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빈부격차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사회적 분열을 해결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의 공생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사회복지제도가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급격한 경제 성장에 초점을 두었으며 이에 응당한 성과를 이끌어 내었으나 그 이면에는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가 희생된 측면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청년수당, 누리과정 수당, 무상급식 등으로 생의 초기에 평등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지제도의 수혜에 대한 범위에 대한 논쟁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진보진영과 보수진영으로 나뉘어 복지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견 충돌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 자료
양승일 (2013). 선별주의와 보편주의를 둘러싼 지방복지정책의 갈등 분석: 서울특별시 무상급식정책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7(1), 125-154.
류만희 (2014). 보편주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한국에서 함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 383-402.
이태수 (2016). 한국 복지국가의 보편주의 논쟁과 대응 전략. 비판사회정책(52), 330-364.
윤홍식 (2011). 보편주의 복지국가 비판의 불편한 진실과 과제. 페미니즘 연구, 11(1), 167-206.
류형만(1996). 선별주의와 보편주의 논고.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52(1), 23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