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게 된지도 10년 이상의 시간이 지났다. 내가 초·중·고등학교를 다닐 때만 해도 우리나라는 단일 민족, 단일 국가라고 배웠고 심지어 단일 민족이며 단일 국가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그런데 어느 샌가부터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 원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 그리고 한국으로 온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입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위상이 올라가고 GDP가 올라가면서 한국으로 일하러 오게 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늘어났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한류 드라마나 영화 등의 영향이 컸지만 이후에는 K-pop 즉, 한국의 아이돌과 가수들에 대한 팬덤 현상 등 관심이 극대화 되면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입은 아주 커진 것 같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은 농어촌 등을 중심으로 소위 말하는 노총각들이 많아지면서 이들의 혼인에도 영향을 미쳤다. 필리핀,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의 여성들과 결혼하는 한국 남성들이 생겨났으며 그들의 혼인으로 인해 다문화가정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 보고서에서 중점적으로 볼 것은 이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문화교육이다. 다문화교육은 가정에서도 중요하지만 학교라는 교육과정과 제도들을 학생들이 배우는 기관에서의 교육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다문화교육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다루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 모경환, 최충옥, 임현경(2010).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시민교육연구, 42(4). 31-53.
· 박남수(2007).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사회과교육연구, 14(1), 213-232.
· 장원순(2009). 한국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48(1), 57-79.
· 최화숙(2013).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 구안 . 교원교육, 29(2), 139-159.
·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3&bbtSn=70474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