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집장치의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지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1.17
- 최종 저작일
- 2020.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 : 한국어화용론
주제 : 응집장치의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지 논하시오. 응집장치의 특징과 유형을 기술, 어떻게 적용해서 교수할지에 대한 방안을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 중 한 영역에 대해서 제시해도 됨.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접속 응집장치
2. 응집장치를 활용한 쓰기교육 사례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텍스트성이라고 하는 것은 텍스트를 텍스트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가지도록 하는 자질 및 특성을 뜻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그랑드와 드레슬러라는 학자들은 텍스트가 언어를 표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언어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텍스트성을 크게 7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여기에는 응결성, 응집성, 용인성, 의도성, 상황성, 정보성, 상호텍스트성 등이 있다. 이 일곱자기의 특성들 가운데 학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선정한 것은 응결성과 응집성이었다. 이 두 가지의 특성이 문어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텍스트성을 만들어내는 가중 주된 요소라는 것이다.
여기의 중심이 되는 요소가 바로 응집장치이다. 문장이 나열한 것을 단순하게 모아 놓은 것이 하나의 텍스트가 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로서의 자격을 제대로 갖추도록 해주는 요소를 곧 응집장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를 활용함에 따라 텍스트를 작성하는 자는 본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의도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텍세트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움을 주게 되며, 이로써 텍스트를 읽는 독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그러므로 쓰기 교육의 하나의 방안으로 응집장치를 선정하는 것은 상당이 중요한 문제이다. 응집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문맥을 통해 의미를 유추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텍스트를 작성한 자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명제라고 할 수 있는 절 사이, 문장 사이의 응결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 필자는 응집장치의 개념과 대해 알아보고 다양한 유형 가운데 접속 응집장치를 선정하여 실제 교육에 어떻게 적용이 될 수 있을지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II. 본론
1. 접속 응집장치
한국어의 접속 응결장치는 형태적인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접속조사, 접속부사, 접속어미, 관용적 연결 표현 등이 있다.
참고 자료
김선주.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 쓰기 교육의 응결장치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2019.
박혜진.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 분석 : 논술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